|
, 1986
『근사록 집해』, 이광주 역주, 아카넷 Ⅰ. 머리말
Ⅱ. 장재의 생애
Ⅲ. 『정몽』에서 살펴본 장재 사상
- 장재철학에서의 기의 특성
- 천인합일
- 인성론
- 수양론
- 자아갈등과 분열의 문제
- 서 명
Ⅳ. 맺음말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09.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양론 천리와 인성 그리고 경의문제,”『철학논총』제10호(1994).
허남진, “장재의 기일원론과 임성주의 기일분수설,”『한국문화』제43호(2008). 장재(張載 1017-1077)
장재의 ‘기(氣)’
장재의 사상
천인합일(天人合一)
인성론(人性論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4.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양론으로 이루어진 성리학은 이후 원대와 명청시대를 거치면서 명실상부한 정치철학으로써의 자리매김과 함께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강력한 정신사적 사상으로 발전하였다.
이와 기의 개념을 바탕으로 이기의 선후, 이기의 동정으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9.05.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재·주희에 이르기까지, 이것을 버리고 학문을 할 수 있은 사람은 없었다. 사상채(謝上蔡)씨는 「항상 두려워 할 법은 유가에서 말하면 敬이요, 불교에서 말하면 覺이다\"고 말하였다. 선생이 말한 마음은 그것이 활변(活變)하여 출입에 따로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이정의 천리론 연구,”『중국과 중국학』제9호(2009).
김수청, “정호와 정이의 수양론 천리와 인성 그리고 경의문제,”『철학논총』제10호(1994).
허남진, “장재의 기일원론과 임성주의 기일분수설,”『한국문화』제43호(2008). 없음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9.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