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묘배향은 그가 성종 시대의 사림파 중 학문과 인품의 최고 경지에 올랐음을 인정하는 것인 동시에 사림의 도통이 정몽주-길재-김종직-정여창·김굉필-조광조-이황으로 계승되었음을 확인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하겠다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7.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폐비 신씨 복위문제에 대한 논쟁과 조광조
2) 정몽주와 김굉필의 문묘배향
3) 소격서 폐지
4) 향약 실시
5) 현량과 실시
6) 위훈삭제와 그 파문
5. 기묘사화
6. 조광조의 성리학
7. 조광조의 지치주의
8. 알성시 대책문
9. 사후
Ⅲ. 결론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몽주를 자신들의 학통과 연계시키고 있는 점에서 이미 지적하였거니와, 이후 김굉필·정여창·조광조·이언적·이황 등으로 이어지는 사림의 학통과 문묘배향에서 주장되는 이들의 행적에서 공통되는 것은 모두 실천적인 유학사사의 면모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4.05.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6) 경연
3. 조광조의 개혁정치
1) 폐비신씨 복위문제
2) 정몽주와 김굉필의 문묘배향
3) 소격서 폐지
4) 향약 실시
5) 현량과 실시
6) 위훈삭제
4. 기묘사화와 조광조
Ⅲ. 결론
※ 참고문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6.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몽주를 제향한 충렬 서원에 배향되었다가 사림들이 본격적으로 정권을 장악한 효정 원년(1650)에 건립과 동시에 사액이 되어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살아남아 현존하는 47개의 서원 중 하나가 된다.
답사하기 전 사전조사에 의하면 심곡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