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5
무릎90도 굴곡위에서 슬개골보다 더 내린 수직선
하퇴장축
슬개골
슬관절을 90도 굴곡하고 계측한다.
내회전
internal rotation
0-40
하퇴장축
슬개골
고관절
관절명
운동방향
정상가동범위
각도계의 방향
주의
기본측
이동측
측중심
무릎
knee
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6.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면)
내외 복사근
(oblique E&I)
더블-레그 레이즈
(double-leg raise)
대퇴사두근
(quadriceps)
허리(후면)
대둔근
(hamstrings)
뒷부분(후면)
척추기립근
(erector spine)
(전면) 1. 정상가동범위의 결정
2. 가동범위 측정
3. 등척성 운동
4. 등장성 운동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동범위 맨끝이다. 잠김위치일 때 관절면은 서로 압축되고 관절이 최대 안정상을 가지며, 관절면을 분리시키는 경향이 있는 인장력(tensile force)에 저항한다. 신전위치는 상완척관절(humeroulnar), 슬관절, 지절간관절(interphalangeal)의 잠김위치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8.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상가동범위
각도계의 방향
주의
기본측
이동측
측중심
무릎
knee
굴곡
flexion
0-130
대퇴골
(대전자와 대퇴골외과의 중심)
하퇴골
(비골과)
슬관절
원칙적으로 복와외에서 행한다. 고관절의 굴곡 구축 등이 있어 복와위를 계속할 수 없을 경우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10.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상적인 팔과 어깨 운동을 회복할 수 있다.
계획
- 대상자에게 ‘어깨 강직’ 예방과 가능한 합병증에 대해 교육한다.
- 수술 후 팔과 어깨 움직임의 제한을 사정한다.
- 대상자에게 위축된 어깨 근육을 풀어주기 위해 관절가동범위 운동을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5.04.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