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헌법이 지자체에게 포괄적인 자치권을 부여하고있는 것으로 볼때 조례에 대한 위임은 반드시 구체적으로 범위를 정하여 할 필요가 없으며 포괄적인 것으로 족하다.
(대판 1991.8.27 90누6613)(헌재 1995.4.20 92헌마264)
4.조례제정범위 한계 위반의 효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9.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례를 제정할 수 있다고규정하고 있지 아니하는 한 단체장의 고유한 권한으로 인정되며, 조례로서 단체장의 그 권한행사를 제한할 수 없다(대법원 1996.5.10. 95추87 판결). Ⅰ. 서론
Ⅱ. 조례제정권의 범위
1. 내용적 범위
2. 공간적 범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범위 내에서’의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따라서 조례는 국법인 법령 즉 헌법과 법률, 법규명령에 위반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제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국법체계상 조례가 법령의 하위법규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조례에 대한 법률(법령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9.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례 자체에 의해 직접 기본권을 침해받은 자는 조례 자체에 대하여 헌법소원을 제기할 수 있다(헌재 1994.12.29, 92헌마216).
Ⅲ. 結論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지방자치의 운영과정에서 지방의회의 조례제정권의 범위와 한계를 둘러싸고 논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례제정범위가 확대되도록 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②국가는 지방자치단체의 조직 및 정원에 관하여는 필요한 최소한의 기준만을 정함으로써 지방자치단체의 조직운영과 인력관리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여야 한다.
③국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1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