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족 사회에서는 새로운 희망의 싹이 트고 있다. 한국의 방문취업제 덕분에 한국에 특별한 연고가 없더라도 취업 할 수 있는 길이 열렸기 때문이다. 많은 재중동포가 한국에 가고 있으며 불만의 목소리도 많이 사라졌다”라고 말했다. 이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재중동포는?
한족을 포함한 중국의 56개 민족의 하나로서 주로 동북3성에 거주하고 있는 이들을 의미
해방 이후,
재일동포의 경우 200만 명 중 140만 명이 귀국
하지만, 재중동포는 약 140만 여명의 조선인이 귀국하지 않고 정주
한국 정부의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3.1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족 그들의 미래는… / 정신철 지음 / 신인간사 (2000)
在日本韓國人 / 閔寬植 / 서울: 아시아정책연구원 (1990)
재일교포의 법적지위 / 정인섭 /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
재일 조선인 그들은 누구인가 / 한일민족문제학회 엮음 / 삼인재
|
- 페이지 3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7.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족)에 대한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임계순, 「우리에게 다가온 조선족은 누구인가」, 현암사, 2003
강석화, 「조선후기 함경도와 북방영토의식」, 경세원, 2002
채영국 외 5인, 「연변 조선족 사회의 과거와 현재」, 고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7.10.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족 사회와의 만남」, 도서출판 모시는 사람들, 2004.
2) 임계순,「우리에게 다가온 조선족은 누구인가」, 현암사, 2003. 1. 들어가는 말
2. 조선족은 우리와 피를 나눈 한민족이다.
2.1. 조선족의 정의와 그들이 이주하게 된 동기
2.2.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8.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