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 해오(解悟)와 증오(證俉)의 갈림길이 생겨난다. 이는 『절요』의 체계를 '진리관과 실천론'으로 보느냐, 아니면 '심성론과 수행론'으로 보느냐에 따라 지눌의 삼문은 달라진다.
4) 앎과 삶의 조화【悟修一致】
지눌의 문제의식은 자신의 사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선종과 교종의 원교(화엄종)가 일치한다는 것이다.
지눌에 의하면 선문에는 정과 혜를 닦는 것 이외에 다시 하나의 문이 더 있다. 그것은 무심합도문(無心合道門)이다. 그리고 그 무심합도문은 간화경절문에 의해서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화엄종의 대가 규봉 종밀이 한 말을 지눌이 따온 것이다.
또한 각자가 자신이 부처라는 사실을 깨닫고 화두를 통해 점수를 거치지 않고 바로 선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 看華禪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사상적 정립은 그의 수제자 진각국사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눌, 혜심의 현실대응」『민족문화논총』13
최영호, 1995「화엄종계열 승려의 "강화경판 고려대장경"각성사업 참여」『부산사학』29 (부산사학회)
변동명, 1996「고려후기 성리학의 수용과 승려의 유불관」『국사관론총』71(국사편찬위원 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눌은 법상게를 진실한 성품은 연기함에 장애가 없음을 밝히는 전수문을 들었다. 이는 특히 원교에서 주로 발휘되었는데 원교에서 말하는 연ㄱ는 성기와 같았다. 즉 지눌의 선교일치는 선종 일방과 교종 가운데 화엄종과 일치한다.
지눌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