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
지문자(finger spelling)는 허공에 글씨를 쓰는 것으로, 아동이 단어의 철자를 쓸 때 연필 대신에 손으로 쓰는 것이다. 지문자는 사람들이 쓰는 글자보다도 손짓처럼 복잡한 손 모양에서 서서히 발전한 것이다(Ertlina, Theman-Prezio, & Benedict, 2000).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800원
- 등록일 2023.0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문자를 사용하여 의사소통하는 것으로 지문자라고도 한다. 지문자는 손의 변형으로 문자의 자모와 숫자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국 지문자는 24개의 손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은 한글 자모음을 나타낸다. 지문자는 모양은 있으나 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3.09.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문자를 사용한다.
수화(sign language)는 농인들 사회에서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으로 발전되었다. 체계적인 수화는 18세기 트래피스트회 수도사들이 사용한 몸짓등을 기초하여 de I`Epee가 농학교에
적용하면서 체계화 되었다고 볼 수 있다(Furth,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문자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
2. 수 지 법 : 수화와 지문자가 결합된 의사소통 방법
3. 로체스터법 : 구화와 지문자가 결합된 의사소통 방법
Ⅱ. 지화
1. 한글 지문자(Korea finger spelling)
1947년 국립 맹아학교에 초대 교장이었던 윤백원 선생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문자와 병용하여 한글에 맞추어 표준화된 수화이다. 예를 들면, \'나는 학교에 갔다\'라는 국문법에 따라 \'나는 + 학교 +에 + 가다 + 끝\'으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2) 자연수화
자연수화는 청각장애인의 마음에 생긴 관념의 순서에 따라 표현
장애유형, 장애아동별, 장애분류, 장애유형 장애아동별,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서 및 행동장애, 의사소통장애 6가지 장애 중 본인이 관심,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800원
- 등록일 2023.0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