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구영언』 소개
2) 『청구영언』과 18세기 시조문학
(1) 시조의 작가층
(2) 사설시조
2. 『가곡원류』
1) 『가곡원류』 소개
2) 『가곡원류』와 19세기 시조문학
(1) 가집의 전문화(專門化)
3. 『청구영언』과 『가곡원류』의 차이점
1) 표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6.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곡의 주요 곡 풍을 들어보면 청구영언, 해동가요, 가곡원류의 내용을 절충해 소개가 가능하다. 언락의 경우는 청구영언의 용례에 나온다. 다른 두 책에 언락을 별도로 내세우지 않으며 계, 우, 언락 모두 요풍탕일 화란춘성의 풍도로 노래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5.0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곡원류>와 또한 이 시대를 전후하여 만들어진 <고금가곡>, <동가선>, <객악보>, <남훈태평가> 등의 歌集이 歌詞와 노래 중심으로 작가소개와 확실치 않은 곳이 많다는 점과 사설시조 중에는 작가가 익명인 것이 많아서 작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구영언(靑丘永言)」을 효시로, 63년(영조 39)에는 김수장의 「해동가요(海東歌謠)」, 1876년(고종 13)에 박효관과 안민영의 「가곡원류(歌曲源流)」, 그 밖에 「고금가곡」,「근화악부 」,「병와가곡집」 ,「화원악보」, 「동가선」, 「남훈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구영언(靑丘永言)>. 박효관(朴孝寬)의 <가곡원류(歌曲源流)>와 더불어 3대 가집으로 꼽히고 있다. 1760년에 서울 화개동의 집을 노가재(老歌齋)라 부르고 제자들을 모아 가르쳐 노가재가단(老歌齋歌壇)을 형성하였다. <해동가요(海東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8.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