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조단위중량이 최대가 되는 함수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을 최적함수비(OMC)라고 하며 Proctor의 방법은 실내에서의 표준다짐방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2차대전 중 중량의 항공기를 지지할 비행장 건설에 요구되는 다짐을 위해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위중량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장의 다짐에 대응하는 실내다짐시험을 한 후, 현장에서의 다짐을 시험을 통해 얻은 최대건조단위중량의 어느 일정 비율로 한정한다. 예를 들어 도로교시방서에는 “도로의 기층은 수정다짐방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9.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최대한 제거하여 흙을 촘촘한
상태로 만드는 것을 말하며 이를 위하여 에너지가 소요된다. 이 때 잘 다져질수록 단위
체적 당의 흙 입자 알갱이의 무게가 증가하게 된다. 즉, 흙의 건조단위중량이 증가하게
된다.
(2) 실제 현장에서 다지는 방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7.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무게
(g)
함수비
흙
무게
물
무게
1
5400
1960
1.996
1.7914
22.12
38.38
36.71
0.11446
14.59
1.67
2
5520
2080
2.119
1.8526
18.7
44.58
41.33
0.14361
22.63
3.25
3
5480
2040
2.078
1.7744
12.11
34.36
31.11
0.17105
19
3.25
◎ 건조 단위중량
(:습윤단위중량, :함수비)
◎ 영공기곡선
◎ 최대건조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건조단위중량을 표시하면 다짐곡선이 얻어진다. 이 곡선으로부터 최대 건조단위중량 dmax 과 최적함수비 wopt를 구한다.
2] 습윤단위단위중량 t :
{ }_{t }= { { w}_{2 }- { w}_{ 1} } over {V } [g/㎤]
W1 : (몰드 + 저판)의 무게 [g]
W2 : (몰드 + 저판 + 습윤시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3.1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