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큰상을 내렸고 이 음식의 일부를 다시 친정에 보내는 것이 바른 예절이다. 예전에 신랑과 신부를 맞이하는 양가에서 큰상을 차리고 이를 사돈댁에 보내는 풍습을 상수라 하였다. 현재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예단 음식으로 주고받는다. 상수 또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다음중 교자상 차림에 대한 설명이 바른 것은?
(중)
① 겸상으로 차린다.
② 영양적 균형을 고려하여 차린다.
③ 큰상이라고도 한다.
④ 전통적으로는 음식은 후식을 따로 차렸다.
⑤ 주식을 먼저 먹고 부식을 먹는다.
101) 2
102) 5
103) 2
104) 2
105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일상 조석 상차리기)
면상(주식이 면류로 된 상차리기)
주안상(주류만을 대접할 때 차리는 안주상)
교자상(손님을 대접할 때, 회식을 할 때 차리는 상차림)
돌상(아기가 태어나서 만 1년 되는 첫생일을 축하하는 음식상)
큰상(혼례, 회갑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5.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차림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① 돌상-첫 생일을 축하하는 상차림이다.
② 장국상-국수를 주식으로 하는 상차림이다.
③ 주안상-술과 안주를 대접하는 상차림이다.
④ 두레상-여럿이 함께 식사하는 상차림이다.
⑤ 큰상-생일에 주인공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5.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
85) 개인 접시
86) 2
87) 1
88) 4
89) ① 서양음식은 순서대로 나온다.
② 스푼, 포크, 나이프
③ 냅킨은 무릅 위에 올려 놓고 식사한다.
90) 2
91) 4
92) 2
93) 4
94) 5 - 구이나 조림은 첩수에 들어간다.
95) 1
96) 1
97) 5첩
98) 큰상
99) 왼쪽, 오른쪽, 중앙
100)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