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평소
Ⅳ.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아쟁
Ⅴ.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가야금
Ⅵ.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거문고와 쟁
1. 거문고
2. 대쟁
3. 아쟁
Ⅶ. 한국전통악기(국악기, 전통악기) 삼죽(대금, 중금, 소금)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취타와 당악계통의 음악에 사용되었었다. 거문고
가야금
아쟁
해금
양금
관악기
대금
세피리
향피리
당피리
퉁소
태평소
생황
나각
타악기
장구
장고
좌고
소리북
꽹과리
징
소고
자바라
박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태평소, 나발, 나각, 북 등과 함께 대취타에 쓰였고, 불교음악과 무악, 농악에서도 사용된다.
정, 금정, 금, 금라, 나 등의 여러 이름이 있으나 모두 같은 종류의 악기이다. 농악, 무속음악에서 징과 꽹과리는 같이 사용되며 꽹과리는 잔가락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조로울 수 있는 판을 활기차고 들뜬 분위기로 만들어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금은 대취타, 정대업, 시나위, 농악 등에 사용된다. 편종(編鐘)
방향(方響)
징과 대금(大金)
편경(編磬)
특경(特磬)
금(琴)
장고(杖鼓0
태평소(太平簫)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5.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금, 월금(완함), 아쟁, 금, 슬, 해금, 거문고, 가야금, 향비파, 당비파가 있으나 모두 활발히 연주되지는 않는다. 관악기로는 3죽(三竹)이라 불리우는 대금, 중금, 소금과 퉁소, 지, 단소, 피리(향피리, 세피리, 당피리), 태평소(날라리), 생황, 소,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6.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