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급받는 가족수당의 절반을 지급한 경우에는 통상임금에 포함시킨다.
7) 통상임금범위제외에 대한 노사간의 합의의 효력
판례는 통상임금에 산입되어야 할 각종 수당을 통상임금에서 제외하기로 한 노사간의 합의는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1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호텔 등의 종사자가 받는 봉사료는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보고 있으나, 봉사료가 매월 기본급 명목으로 정액지급하는 경우에는 통상임금에 포함될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마. 근속연수에 따라 차등지급되는 근속수당
근속연수에 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금의 산입임금범위가 외국에 비해 너무 좁아서 임금총액 및 인건비 총액과 커다란 괴리가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현행 최저임금은 전사업체 근로자 통상임금 평균액의 70% 내외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즉, 평균 근로자는 통상임금 기준으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17.09.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범위를 지나치게 축소한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주21) 통상임금의 정의와 관련한 최초의 판결인 대법원 1978.10.10. 선고, 78다1372 판결은 단지 "근로기준법 19조 2항이 말하는 통상임금이란 평균임금의 산정과는 달라서 실제 근무일수나 실제 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금의 개념과 범위
1) 근로기준법상 임금의 개념
2) 임금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금품
3) 근로기준법상 임금 여부를 판단하는 이유
4) 법정수당과 법정외수당(임의수당)
2. 통상임금과 평균임금
1)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의 구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9.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