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법적 제약이 따른다.
‘-고서, -아/어서, -(으)ㄴ들, -건대, -자, -(으)ㄹ수록’ 등은 시제를 나타내는 ‘-았-, -겠-, -더-’ 등의 어미가 붙지 않는다. ‘-아/어서, -아/어야, -느라고, -건만, -거니와, -자’등의 연결어미는 명령형이나 청유형과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9.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준형태
접미사가 어근과 결합될 때 교체가 일어난 것
뿌다구니, 바느질, 모가치
체언어근에 접미사가 붙음으로써 변이가 일어난 예
가느다랗다, 구이, 누룽지
용언어근에 접미사가 붙을 때 일어나는 교체의 예
까맣다, 까끄라기, 거무데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법 단일본에서는 동사 ‘되다’와 형용사 ‘아니다’의 앞에 오는 ‘체언+이/가’만 보어로 인정하고 있다. 그것은 이 때의 ‘-이/가’가 서술절의 주어가 아닌 것이 분명하고, 수의적인 부사어도 아닌 한편, 보어로서는 분명하게 규정할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5.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기 위하여는 원칙적으로 조사가 붙어야 한다.
3) 조사가 붙어 문법적 관계가 표시되는 현상을 곡용(曲用, declension)이라고 한다.
4) 조사에 의한 문법적 관계의 표시방식이 순수한 굴절법으로 설명되는 용언의 활용과 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5.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준국어문법론
11장. 부속성분
11. 3. 1 관형어
관형어의 성립
관형사형의 기능
조사 ‘의’
관형어의 특징
관형어의 겹쳐 쓰임
11.3.2 부사어
부사어의 성립
부사어의 갈래
부사어의 겹침
부사어의 위치
부사어의 특징
필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3.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