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어교육』 14(1), 한국어교육협회.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1998), 말이 트이는 한국어I,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 한국어의 교재에 제시된 미래 형태
2) ‘-겠-’으로 한국어의 미래 시제 표현을 설명하는 것이 더 유리한 이유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9.0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그러나 최근에는 성분의 생략을 단순한 생략으로 보지 않고 영 형태로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우리말은 한 단위의 이야기에서 되풀이되는 요소가 모습을 감추는 일이 많으며 그것은 특히 주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보조사는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9.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겠-, -리/으리-’ 형태
○ ‘-ㄹ/을 것-’과 같은 통사적 구성
(예) 내일도 비가 오겠다.
금방이라도 비가 쏟아질 것이다.
그가 나를 찾으리라.
나도 너와 함께 하겠다.
2) 미래 시제와 양태
- 미래 시제 표지에는 양태적 의미가 두드러진다.
- 양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09.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헌
Ⅰ. 국어 어미의 기능
1. 선어말어미
선어말어미는 종래 補助語幹이라 불러 오던 것들이다. ‘-겠-’을 예로 보면 ‘뛰겠다, 뛰겠으니, 뛰겠으면, 뛰겠고’ 처럼 마치 ‘뛰겠-’까지가 어간처럼 활용한다. 이러한 특성을 들어 보조어간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으)ㄴ’의 의미기능에 대해 설명하라.
관형사형어미 ‘-(으)ㄴ’은 형용사나 지정사와 쓰일 때는 주절의 시점에 비추어 현재/미완료의 시상적 의미를 나타내지만, 동사와 쓰일 때는 과거/완료의 시상적 의미를 나타낸다.
61. 다음 예문들에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100원
- 등록일 2008.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