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를 말하는 것으로 한국어가 우리의 정체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문화이고, 이 문화를 가지고 정서적인 안정감을 얻으면서 생활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것이다. 특히, 문학작품에 방언이 많이 나오는데, 시와 소설은 작가의 경험에서 나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17.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
예] 비할라 온디 어디를 가냐? (비조차 오는데 어디를 가니?)
어미
①-드라고
청유형 종결 어미로 ‘-드라고’가 쓰인다.
예] 인자 가 보드라고. (이제 가 보세.)
②-으까미, -으깜시
중앙 방언의 ‘-을까봐’에[ 해당하는 연결 어미로서 이 방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10.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우법에 대한 정리를 표로 나타낸 것이다.
<표3> 서남방언의 청자대우법 7)과 같음
아주높임
예사낮춤
아주낮춤
두루낮춤(반말)
두루높임
서술
-소/요/으요/우
-습디다
-네, -으시
-니
-읍세
-은다
-니라
-으마
-응거(감탄)
-구라(감탄)
-구만(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 김공칠(1988)은 방언을 구획하는 경우에 ‘음운, 어휘, 문법’을 포함하는 언어적인 것과 방언의식이 고려되어야 할 것을 강조하고 국어를 일곱 개의 방언으로 나누었다.
ㄱ. 부문별 특성에 의한 구획
a. 낱말적 기준
북부방언 - 평안남북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200원
- 등록일 2018.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어의 경우 허웅(1985)의 공깃길로 4도 이상이면 홀소리가 되고, 0도에 3도까지는 닿소리가 된다.
2) 홀소리 체계
- 홀소리의 조음 위치는 상대적인 것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다른 소리들(방언, 모든 언어, 개인의 언어들)을 비교하기 위해서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3.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