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고할 수 있다고 하고 있으나, 근기법의 기본이념인 근로자의 보호의 취지를 고려할 때 최소한의 절차는 거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Ⅴ. 마치며
지금까지 해고의 제한에 대하여 살펴본 바, 이러한 해고제한의 기본적 취지는 근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고자유의 원칙이었으며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근로자를 어떤 사유로든 해고할 수 있었다. 그러나 위 원칙은 많은 비판을 받아 현재는 단체협약, 판례법, 각종의 성문법을 통하여 사용자의 근로자에 대한 해고[290] 가 제한되고 있다. 그리하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고시에도 금지된다.
3. 위법행위의 신고를 이유로 한 해고금지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영자의 근기법 등의 위반사실을 노동부장관 또는 근로감독관에게 통고한 것을 이유로 해고하지 못한다(제107조제2항).
Ⅵ. 결
지금까지 해고의 제한에 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3.1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고와 부당해고, 중앙경제사, 1995
○ 김소영, 해고제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 김형배, 노동법, 박영사, 2004
○ 부당해고와 위자료, 노동법연구 제7호, 진원, 1998
○ 연구논문, 해고자유원칙의 수정과 부당해고의 제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고의 법리, 한국노동연구원, 1993
◈ 정진경, 미국의 자유해고원칙의 수정과 부당해고의 제한, 노동법연구8호, 서울대학교 노동법연구회, 1999
◈ 정재성, 징계절차를 위반한 징계의 효력, 노동법연구 제2집, 서울대학교 노동법연구회, 1992
◈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7.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