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멸원인
채무자의 이행 또는 이행의 제공, 해제권의 포기 해제권의 실효, 제척기간의 경과가 있다.
2) 특수한 소멸원인
해제권 여부의 최고권, 훼손 등으로 인한 해제권의 소멸, 해지해제권의 불가분성 등이 있다.
6. 계약의 해지
1) 의의
계속적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항이 약관규제법 제9조 제5호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1. 들어가며
2. 고객의 해제권 또는 해지권을 배제하거나 그 행사를 제한하는 조항(제1호)
3. 사업자의 해제ㆍ해지권의 확대 내지 완화(제2호)
4. 3호와 4호 및 5호 조항
5. 관련판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또한 부득이한 사유는 상대방의 일신상의 사유에 기인하는 경우도 있다. 결국 해지의 성질은 해제와는 달리 계속적 채권관계의 당사자에 인정되는 일종의 자유 내지 권한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해지권이라기보다는 해지권한이라는 용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지권의 발생 원인을 규정하고 있다. 사용대차, 임대차, 고용, 위임, 임치에 관한 규정 등이 그것이다.
Ⅲ. 해지권의 행사
해지권은 해제권과 같은 형성권이기 때문에, 해지권자가 일방적으로 상대방에 대한 해지를 의사표시 하는 것으로 충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지권의 발생 : 임대차(§636)
(2) 법정해지권의 발생
① 계속적 채권관계(임대차, 소비대차, 사용대차, 고용, 위임, 임치, 조합)에 있어서 채무불이행
② 민법상 해제권 발생사유는 해지권 발생사유가 되는 것은 아님(다수설)
□판례□
<사정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0.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