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에서부터 미소 면적의 도심까지의 거리를 각각 곱하여, 전체 단면에 대해 적분한 값을 단면 상승 모멘트라고 한다.
단면 상승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대칭단면일 경우,
KeyPoint)
대칭단면이고, x, y 두 축중에서 한축이 대칭축일때,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KeyPoint) 다음 내민보를 해석해본다.
위의 내민보에서 BC구간이 밖으로 내민보 부분에 해당하며 켄틸레버 보와 같이 간주하여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AB구간은 일반 단순보와 동일하게 해석할 수 있다.
우선, 다음과 같이 반력을 가정한다.
B 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KeyPoint)
다음 도형의 최대 전단응력을 구해본다.
먼저, 각 단면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라고 가정한다.
원형단면에서 최대 전단응력은 단면 1차 모멘트가 최대가 되는 곳에서 발생한다.
단면 1차 모멘트가 최대가 되는 곳은 최외측 단면적의 중립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KeyPoint)
3.2 우력(짝힘, couple force)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나란한 두 힘
3.3 우력 모멘트(couple moment)
우력에 의해 발생되는 모멘트
3.4 바리농의 정리
여러 힘의 한점에 대한 모멘트의 대수합은 합력의 그 점에 대한 모멘트와 같다.
합력의 작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KeyPoint) 두 가지의 재료로 이루어진 다음 합성부재의 응력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두 재료는 서로 합성되어 동일하게 거동하므로 발생되는 변형 혹은 변형률은 동일해야 한다. 즉,
한편, 두 재료에 발생하는 내력(응력단면적)의 합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