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펼치기
회원가입
|
로그인
|
마이페이지
|
충전하기
|
장바구니
|
고객센터
검색어 자동완성 닫기
고급 검색
X
고급 검색 열기
아래를 기준으로 검색
아래를 기준으로 정렬
자료등록일
|
전체
최근 1주일
최근 1개월
최근 1년
최근 3년
정렬 기준
|
관련순
최신순
가격순
한글
파워포인트
아크로벳
워드
전문지식
3건
『헌종무신진찬의궤(憲宗戊申進饌儀軌)』의 도식(圖式 : 그림)을 통해 살펴본 정재...
진찬(進饌) ·진연(進宴)에서 무고(舞鼓)와 더불어 빠지지 않는 중요한 춤이었다. 조선 후기까지 전해졌으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그림25> 아박 동동(動動) ·동동무(動動舞)라고도 한다.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 속악조(
국악 정재
,
의궤 춤
,
『헌종무신진찬의궤(憲宗戊申進饌儀軌)』의 도식(圖式 : 그림)을 통해 살펴본 정재 레포트
,
페이지
13페이지
가격
1,500원
등록일
2015.01.20
파일종류
한글(hwp)
참고문헌
없음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궁중음식
헌종 l4)에 거행된 대왕대비전 육순(六旬) 잔치 때 진연의 발기를 보면, 회갑(回甲) 정일(正日)에 차린 진어찬안(進御饌案)은 무려 45기(器)가 되었다. 그 괸 높이는 음식에 따라 약간씩 다르지만 최고 높이 51 cm부터 45 cm, 42 cm, 39 cm, 30 cm 등 여러
궁중음식 어상
,
수라상 제사상
,
궁중음식
,
페이지
4페이지
가격
700원
등록일
2002.05.24
파일종류
워드(doc)
참고문헌
없음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궁중유물 전시관을 다녀와서
의궤를 공부하는것 보다 궁중 유물이 훨씬 흥미가 있었는데 왕실의 생활상과 국가정책등을 엿볼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아쉬운 것은 짧지 않은 조선왕조의 역사가 많은 문화유산을 배출 했을 거라 짐작하는데 그 많은 유물이 어디로 소실되
궁중유물의 성격 궁중의 오례
,
과학기술 궁중회화
,
궁중유물 전시관을 다녀와서
,
페이지
32페이지
가격
500원
등록일
2004.03.30
파일종류
한글(hwp)
참고문헌
없음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