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법상 인과관계와 방법의 착오\", 고시계 2002/1
김형준, \"미필적 고의와 인과관계\", 고시계 2002/3
박상기, \"고의의 본질과 대법원 판례의 입장\", 형사판례연구[10](2002)
조상제, \"개괄적 과실 사례의 결과귀속\", 형사판례연구[10](2002)
조준현, \"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08.1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상해를 입힌 경우, 피고인에게 상해의 범의가 인정되며 상해를 입은 사 람이 목적한 사람이 아닌 다른 사람이라 하여 과실치상죄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
관련문제(개괄적 고의)
의의
개괄적 고의란 특수한 고의형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0.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 할 것이며, 갑과 갑의 모인 병의 동일성을 착오한 경우가 아니라 행위의 방법이 잘못되어 의도한 갑 이외의 객체인 병에 대하여 결과가 발생한 경우이므로 방법의 착오와 관련된 문제라 할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방법의 착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0.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출판문화원 : 서울, 2021
· 노형미 저, ‘미필적 고의에 관한 연구 : 살인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 서울, 2018 1. 서론
2. 본론
1) 형법상 미필적 고의
2) 구성요건 착오의 유형과 착오의 효과
3. 결론
4. 참고문헌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2.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I. 착오의 개념
형법상 착오의 유형
① 구성요건적 착오
② 위법성의 착오 로 구분
? 구성요건의 착오는 구성요건요소에 대한 행위자의 인식과 현실적, 구체적 정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사실의 착오라고도 부르는데 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0.11.09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