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타내는 의존 명사로 쓰인 경우에는 ‘한 번,두 번..’등과 같이 띄어서 써야 한다.그러나 ‘한번’이 부사로서 하나의 낱말 단위로 쓰일 때에는 붙여 써야 한다.
‘십만’경우에는 ‘만’단위로 띄어 쓰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붙여 써야 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결어미 '-녀, -뇨(현재), -려, -료(미래)'가 의문형을 나타냄
-공덕이 하녀 몬 하녀(많냐 많지 않느냐)
.중세국어에서 종결어미 '-ㄴ다, -ㄹ다'가 의문법을 나타냄. 2인칭 대명사와 호응
-네 엇뎨 안다
.간접적인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 '-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5.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미는 서술조사 '이'를 개입시켜 '이라'가 되나 '이내'에서 '이'가 삭제된 것이다. 이것은 문맥에서 감탄형으로 볼 것이다. '-구나, -도다'가 된다.
5.4 功德修叱如良來如
① 功德 닥그러 온다 (소창진평) ② 功德 닷까라 오다 (양주동)
③ 功德 닷
|
- 페이지 4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나타내는 단어.
예) 허허, 이럴 수가 있나.
여보, 이리 오시오.
네, 갈게요.
(1) 감탄사의 특징
1) 어형변화가 없고, 활용하지 않으며, 조사와 결합하지 않는다.
2) 다른 문장 성분의 도움을 받지 않고서도 홀로 문장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3)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3.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후자는 회상 처리.
⑥안동환(1980,1981):국어는 과거와 비과거의 두 종류의 시제구분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은‘었’의 있고 없음에 따라 결정된다고 봄. 관형절의 시제를 부인하는 남기심의 견해를 비판하고 시제를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