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양 및 개경의 도성계획』
이병수. 1979. 「高麗時代의 硏究」
하진아. 1994. 「서울한강유역의 지역형성과정」
서정규 1989 「한양천도에 풍수지리설이 미친 영향」
이원명. 1984. 「한양천도 배경에 관한 연구」
이경재 : 한양이야기
김용국 :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2.0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설
신라 경덕왕 14년에 한양으로, 고려초기에는 楊洲(양주)로 개칭되었던 현재의 서울은 고려 문종 21년에 비로서 남경으로 설치되었다. 문종 때에 남경이 세우진 동기는 순전히 地理圖讖設(지리토참설)에 의한 것이었는데, 후에 좋은 효험이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길지설을 내세워 묘청이 주장한 천도는 국왕의 천도의지와 권위 그리고 그의 주장을 지지하는 정치세력의 열세로 인해 실현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반발한 묘청은 서경을 중심으로 반란을 일으켰는데 반란은 곧 실패로 돌아갔고 이에 따라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6.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보수화(극성기)
- 북진정책 일시유보, 금과 사대관계, 신라 계승이념, 남경길지설 대두
- 유학의 학풍과 한문학의 경향 변화
▷ 후기 - 성리학 수용⇒사회 모순개혁 수용
- 5경보다 4서 중시
- 일상생활에 관계된 실천적 기능강조
- 소학과 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언급한 바와 같이 도참사상과 마찬가지로 정치에 이용되었으며 이에 정치 세력들간에 충돌까지 가져왔다. 인종 때 묘청이 서경 길지설을 내세우고 반란을 일으킨 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4. 도참사상을 조사하면서 느낀 나의 생각?
도참사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