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언의 활용형에 따라 제시하고 있다.
Ⅱ. 보조 용언의 종류
2. 1. 보조 동사
고영근(1997:125~127)은 의미에 따라서 보조 동사를 제시하고 있다. 이에 비해 허웅(1975:418~438)에서는 본용언의 활용형에 따라 제시하고 있다. 또한 허웅은 15세기 국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조용언인지 병렬적 구성을 이루는 것인지 아니면 동사구의 합성어인지 구별이 쉽지 않은 경우가 있다.
2.2. 보조용언 설정근거 손세모돌, 『국어 보조용언 연구』,한국문화사, 1996, p.37~77
보조용언의 ①.구문론적 의존성, ②.대용형에 의한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1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의 형태소 통합 양상에 있어서 불연속 형태소는 매우 특이한 존재이기는 하지만 구조적인 분석 원리를 충실히 따를 경우에는 여기에서와 같이 어쩔 수 없이 불연속 형태소를 설정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이 밖에도 15세기에는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결 어미
2. 2. 1. 4. 청유형 종결 어미 2. 2. 1. 5. 감탄형 종결 어미
2. 3. 연결 어미
2. 3. 1 대등적 연결 어미 2. 3. 2. 종속적 연결 어미 2.
3. 3. 보조적 연결 어미2.
3. 4. 전성 어미 2. 3. 4. 1. 명사형 전성 어미 2. 3. 4. 2. 관형사형 전성 어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 표기법은 크게 보아 지금까지 다섯 단계에 걸쳐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15세기의 ‘훈민정음’ 단계, 19세기 말의 ‘국문 연구 의정안(國文硏究議政案)’ 단계, 20세기 전반 일제 강점기의 ‘언문 철자법(諺文 綴字法)’ 단계와 1933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0.05.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