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류학 개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2. 한국문화인류학회 지음, 처음만나는 문화인류학, 일조각, 2003.
3. 로저키징 지음, 전경수 옮김, 현대문화인류학, 현음사, 1996. 1. 19세기 진화주의
2. 영국의 극단적 전파주의: 태양중심학파
3. 오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10.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류학의 이론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인류학 이론의 발달과정을 정리해보면 인류학 초기 단계에서 등장했던 진화론은 흔히 19세기 이론으로 여겨지지만 아직도 사랑받고 있다. 즉 진화주의는 20세기 후반 일부 인류학자들의 인간의 문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4.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9세기: 인류학과 진화주의
2. 20세기 초: 인류학의 다양화
(1) 보애스와 역사적 특수주의
(2) 이집트 학파와 전파주의
(3) 뒤르켐과 사회인류학의 기초
3. 20세기 중반
(1) 경험주의의 확립과 구조기능주의
(2) 레비-스트로스와 신구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1.05.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화주의의 대표적 인류학자로서 타일러(Edward B. Tylor; 1832년∼1917년)와 모르간(Lewis Henry Morgan; 1818년∼1889년)을 들 수 있다.
2. 문화전파주의(cultural diffusionism)
전파주의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①영국의 전파주의 학파(migrationism)와 ②독일·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4.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9세기 후반부터 왕성해졌으나 최초는 문화의 기원 발단을 명백히 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세계 중의 어느 민족이라도 수럽·목축·농경이라고 하는 일정한 발전단계를 거쳐 각기 독립적으로 발달한다고 하는 진화주의적 사상이 지배적이었다.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