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nar, W.F.(1975). Curriculum theorizing: The reconceptualist. Berkeley: McCutchan.
Pinar, W. F. et.al.(1995). Understanding curriculum. New York: Peter Lang.
Schon, D. A.(1987).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San Francisco: Jossey-Bass Pub.
Smyth, J. & Shacklock, G. (1998). Re-making teach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10.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Pinar,『교육과정논쟁 : 교육과정의 사회학』, 한준상 · 김종량 · 김명희 공역, 집문당, 1991, 13-30쪽.
◆참고 문헌◆
오성삼·구병두 공저,『교육과정 및 평가의 이해』, 양서원, 1997.
이원희 외,『교육과정』, 교육과학사, 2010.
Henry A. Giroux · Antho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Pinar)
구조적(Apple)
교육과정의 기본질문
-타일러의 논의
(네 가지 질문)
-철학적 판단 유보
-가치중립성
-절차와 방법 중시
-교육적 경험의 본질은 무엇인가?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떻게 진정한 자신을 발견할 수 있는가?
-교육경험의 속성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 기능을 담당하였다.
※참고문헌
William F. Pinar, William M. Reynolds, Patrick Slattery, Peter M. Taubman 著
교육과정 담론의 새 지평, 1994, 서울, 원미사
이원희·박승배·조영남·권혁일·황윤환·김영천·허숙·박천환·박영무·한승희·조주연·조재식著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5.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Pinar는 실존주의, 정신분석학, 문학이론, 그리고 교육이론 등을 바탕으로 개인의 실존적 자아 성찰을 통한 인간의 해방으로 문제 해결의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에, Apple은 주로 신마르크스주의의 비판이론을 바탕으로 개인을 구속하는 사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