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표현요소가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영향 : 광고표현요소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1)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2) 광고 표현요소의 효과에 관한 논의들

3. 연구모델 및 연구문제
1) 연구모델 및 연구 문제
2) 주요 변인의 정의

4. 연구방법
1) 조사방법 및 조사대상 선정
2) 광고물 선정
3) 자료 분석 방법

5. 연구결과 및 논의
1) 측정 자료의 검토
2) 회기분석 결과 및 논의

6. 연구의 한계

본문내용

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광고 제작시 실무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제품 속성과 목표 소비자의 특성에 맞는 광고 표현요소들을 선정하는 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됨으로써 효과적인 광고 표현전략 수립에 일조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된 것이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의 결과뿐만 아니라 본 연구의 제한점들을 보완한 지속적인 연구들의 뒷받침이 있어야 할 것을 사료된다.
<참 고 문 헌>
김용환 (1992). <광고에 있어 유머소구의 효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전달영 이호배 (1996). 유명인 광고 모델과 일반인 광고 모델의 광고 효과. <광고연구>, 1996년 봄호, 151-178.
Chattopadyay, A. & Basu, K. (1990).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7(Nov., 1990).
Dholakia, R. & sternthal, B. (1977). Highly Credible Sources: Persuasive Facilities or Persuasive Liabiliti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March), 223-232.
Frieden, H, Termini, S. & Washington, R. (1976).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Utilizing Four Types of Endorsers. Journal of Advertising, 6, 22-24.
Golden, L. & Johnson, K. (1983). The Impact of Sensory Preference and Thinking versus Feeling Appeals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In R. Bagozzi & A. Tybout(ed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0, MIC: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Haley, R., Richardson, J. & Baldwin, B. (1984). The Effects of Nonverbal Communications in Television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4(4), 11-18.
Hill, R. & Mazis, M. (1983). Measuring Emotional Response to Advertising. R. Lutz(ed.),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3, UT: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Hoyer, W., Srivastava, R. & Jacoby, J. (1984). Sources of Miscomprehension in Television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13, 17-26.
Kamins, M., Brand, M., Hoeke, S. & Moe, J. (1989). Two-Sided versus One-Sided Celebrity Endorsement: The Impact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and Credibility. Journal of Advertising, 18(2), 4-10.
Macklin, M. (1988).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in Advertising and Childrens responses: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In S. Hecker & D. Steward(eds.), Nonverbal Communication in Advertising, 225-252. MA: D.C. Heath and Co..
Madden, T. & Weinberger, M. (1982). The Effects of Humor on Attention in Magazine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14(2), 23-28.
McCracken, G. (1989). Who is the Celebrity Endorser? Cultural Foundations of the Endorsement Proces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6, 310-321.
McGuire, W. (1985). Attitudes and Attitude Change. In G. Lindzey & E. Aronson(eds.),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Vol. 2, 233-246. New York: Random House.
Sewall, M. & Sarel, D. (1986). Characteristics of Radio Commercials and Their Recall Effectiveness. Journal of Marketing, 50, 52-60.
Sternthal, B. & Craig, S. (1973). Humor in Advertising. Journal of Marketing, 37(4), 12-18.
Stout, P. & Leckenby, J. (1988). Let the Music Play: Music as a Nonverbal Element in Television Commercials. In S. Hecker & D. Stewart(eds.), Nonverbal Communication in Advertising. Lexington, MA: Lexington Books.
Wallace, W. (1991). Jingles in Advertisements: Can They Improve Recall?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8, 239-242.
Zielske, H. (1982). Does Day-After Recall Penalize Feeling Ad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2(1), 19-22.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2.10.19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2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