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세계대전을 통한 미국 외교정책의 변화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目 次 >
2차 세계대전을 통한 美國 對外政策의 변화에 대한 考察
Ⅰ. 머리말

Ⅱ. 미국의 孤立主義 외교
1. 건국이념으로서의 고립주의
-조지 워싱턴의 고별연설
2. 고립주의의 변화
-먼로 독트린
3. 문호개방 정책과 1차 세계대전 참전
-새로운 국제주의의 태동

Ⅲ. 大戰 中間期의 미국외교
1. 정상으로의 회귀(回歸)
2. 자본과 평화의 외교

Ⅳ. 2차 세계대전과 미국참전
1. 2차 세계대전의 기원과 전개
1) 2차 세계대전 발발 -유럽의 상황
2) 민주주의의 거대한 병기고로서의 미국
2. 진주만 기습과 미국참전
3. 루즈벨트 행정부의 전쟁수행
1) 대동맹(Grand Alliance)
2) 제2전선 문제
3) 전쟁종결

Ⅵ. 冷戰과 國際主義 확립
1. 전후처리와 냉전
2. 국제연합(U.N)과 미국

Ⅶ. 결론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마니타스, 2006), p 80.
이러한 성향은 그대로 대외정책에 표현되어 사악한 구세계와 관계를 맺지 않을 것을 주장한 초대 대통령 워싱턴의 고별연설과 미국적 가치의 수호범위를 아메리카 전체로 확장한 먼로선언에 이르기까지 반영되었다. 국가 간의 전쟁을 이분법적 선과 악의 투쟁으로 파악하는 것은 무조건 항복방식에서 또한 확인된다. 미국인에게 있어서 “무력의 사용”은 국가 간에 치졸한 이익추구가 아니라 거대한 신의 가치인 선을 구현하기 위해 싸우는 자신의 양심이 걸린 문제였다. 따라서 미국인들은 국가 간의 “미국적 가치”를 보호하기 위해 국제연맹ㆍ국제연합 같은 초유의 국제기구를 창설할 수 있었던 것이다. 다른 국가가 볼 때 그런 기구는 극히 이상주의적이고 비현실적으로 판단되었지만 미국은 그러한 기구를 자신의 뜻대로 움직일 수 있는 막강한 국력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에 세계 평화를 구현 할 수 있다고 믿었다. 또한 예외주의가 미국적 가치의 내적 보존에 치중하는 고립주의에 결합하였을 때에는 미국 제일주의(American First) 정서로 나타났다. 국가탄생에 대한 종교적 배경을 바탕으로 형성된 예외주의는 국가의 국제정치적 역할에 대해서도 차별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이는 미국식 팽창주의적 표현 "명백한 숙명"의 정서와 타국에 대한 모범국으로서의 미국이라는 신념으로 나타났던 것이다. 비록 미국이 항상 이상주의적인 도덕주의 외교를 한 것은 아니었다. 미국은 또한 항상 실리주의 경향이 강한 국가였음을 알아야 한다. 건국초의 고립주의와 먼로선언은 미국인의 특이한 도덕주의적인 경향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도 있지만 또 한편으로는 건국초의 한미한 국가가 갱생하기 위해서 할 수 있는 최선의 외교방책이었다고 볼 수 있다. 고별연설에서 유럽과 정치ㆍ군사적 제휴는 아직 미약한 미국이 그들의 필요에 의해 휘둘릴 위험이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먼로선언은 차후 미국이 아메리카 대륙 전체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 있는 사상적 토대를 마련한 것이었다. 또한 인종적 편견과 결합했을 경우에는 앵글로색슨의 우월주의를 표방하는 인종주의로 작용하여 1890년대 이후 미국의 제국주의적 팽창의 이념적 동력으로 작동하였다.
요컨대 미국인의 대외정책은 이상주의적인 도덕적 가치의 구현이라는 측면과 실리주의적인(미국 이익의 보호와 확대)측면에서 바라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미국 대외정책의 특유성을 구성하는 조건들을 살펴보면 우선 첫째로 한 번도 외부세력의 침공을 받은 적이 없었다는 점과 둘째, 풍부한 자원보전으로 인해 외부의 지원을 필요치 않았다는 역사적ㆍ지리적 특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은 미국외교의 고립주의의 태생적 조건이 되었고 역사적 과정을 통해 강화되었다. 다음으로 권력정치에 대한 경멸감(American Disdain for Power Politics)을 들 수 있다. 이는 미국적 도덕주의에 기반하여 두 가지 형태의 결과를 초래하였다. 하나는 고립주의적 정서로 나타났고, 나머지는 십자군적 이상주의 형태로 나타났다. 이는 칼뱅주의로부터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던 권선징악적 대외관의 표현, 외교적 문제에 대한 도덕주의적 수사 강조 행태, 대외정책 교리(독트린)에 대한 교조적 신봉, 미국의 전쟁참전에 구원주의ㆍ이상주의적 가치 부여 등에서 그 영향을 살펴볼 수 있다.
미국은 지정학적 특이성과 전통적 고립주의 의식 때문에 20세기 초에 이미 세계최강의 국력을 갖추었지만 국제무대로 나아가길 망설이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뿌리 깊은 고립주의를 일소하고 국제주의ㆍ개입주의로서 전 세계에 미국적 가치를 구현하는 패권국으로 발돋음하게 되는 계기는 바로 2차 세계대전을 통해서라고 할 수 있다. 진주만의 충격은 미국 대외관을 뿌리부터 흔들었고 세계대전을 통해 미국은 더욱더 성장했고 강해졌다. 건국초의 고립주의와 먼로주의가 세계대전을 통해 개입주의와 국제주의로 변경되고 세계제국으로 가는 길목을 결정하였다고 보는 바 미국의 대외정책발전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이라고 판단할 수 있겠다. 이후의 미국은 우리가 보는바와 같이 더 이상 자신의 대륙에 머물러 있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
Ⅷ. 참고문헌
<국내서적>
이주천, 《미국전쟁사》,(원광대학교 출판국, 2003).
이주천 외, 《미국현대외교사》, (비봉출판사, 1998).
이주천, 《루즈벨트의 친소정책(1933~1945)》, (신서원, 1998).
김봉준, 《카우보이들의 외교사》, (푸른역사, 2006).
한국미국사학회, 《사료로 읽는 미국사》, (궁리, 2006).
권용립, 《미국 대외정책사》, (민음사, 1997).
이범준, 《美國 外交政策: 理論과 實際》, (博英社, 1998).
이주영, 《미국사》, (대한교과서, 2000).
<번역서적>
Seymour Martin Lipset, American exceptionalism (1996), 《미국예외주의》, 문지영 외 옮김 (후마니타스, 2006).
Kenneth C. Davis, Don't know much about history (2003), 《미국에 대하여 알아야할 모든 것. 미국사》, 이순호 옮김 (책과함께, 2004).
Dougherty, James E. , American foreign policy (1997), 《미국외교정책사》,이수형 옮김 (한울아카데미, 1997).
Peter Benter, Weltmacht Amerika-Das neue Rom (2003), 《제국의 부활-비교역사학으로 보는 미국과 로마》, 김미선 옮김 (이끌리오, 2006).
Denis Florig, American Power and Hegemony , 《미국의 힘과 패권주의》, (매봉, 2005).
Alan Brinkley, The Unfunshed Nation (2004),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황혜성 외 옮김 (휴머니스트, 2005).
Francis Whitney, (An) outline of American history (2004), 《미국의 역사》, (주한 미국대사관 공보과, 2004).
Bernard Law Montgomery, A History of Warfare (1968), 《전쟁의 역사》, 승영조 옮김 (책세상, 2000).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8.01.27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85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