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영화특징 (들뢰즈 영화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뢰즈의 영화론
1. 철학적 배경
2. 운동-이미지의 특징
3. 시간-이미지의 특징
4. <시간-이미지>의 영화
1) 알랭 레네의『지난해 마리앵바드에서』
2) 에릭 브레스의『나비 효과』

Ⅱ 디지털 영화
1. 디지털 영화란 무엇인가
2. 디지털 영화의 특징
1) 미학적 접근
2) 디지털 매체와 기존 전자 매체와의 차이점
3) 공간성과 시간성의 변화
4) 프레임과 시점 개념변화
5) 콜라주 기법의 활용
6) 하이퍼 리얼리티의 구현
7) 시뮬라시옹
8) 전통적 의미의 영화개념 변화
3. 디지털에 대한 이론가들의 견해

본문내용

e'm Flusser) - 1920년 체코 태생. 유태인으로 태어나 나치로 인해 브라질로 건너가서 독학, 상파울로 대학교 커뮤니케이션 철학 담당 교수가 됨. 이후 프랑스와 독일의 주요 대학에서 강의하면서 미디어와 테크놀러지에 의한 인간문화의 패러다임 교체를 필생의 과제로 연구하였음. 그의 견해에 의하면 세상은 datum(주어진 것, the given), facts의 라틴어 어원은 factum(만들어진 것, the made)로 나뉘고, 옛날 사람들에게 있어 세계는 주어진 것, 즉 '다툼datum'이었는데 인간이 세계를 변형시키면서 서서히 '팍툼factum'으로 변해왔다고 주장함. 이렇게 하여 인간이 만든 생산물은 주어진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 것이 되었고. 즉 이미 있는 것의 '모상'(Abbild)이 아니라, 아직 없는 것의 '설계'(Entwurf)가 되었음. 이렇게 아직 없는 것의 형을 만들어내는 작업을 우리는 흔히 '디자인'이라 부르며 이때부터 성직자가 담당하던 '관조'(theoria)는 그 신학적 성격을 잃고, 대학, 공방, 연구소라는 세속적인 공간으로 옮겨져 오늘날의 '이론'(Theorie)이 되었음. 인간은 지금까지 모든 것을 datum에서 factum으로 바꾸어왔고 이제는 자기 자신까지도 datum이 아닌 factum으로 이해하기 시작했음. 즉 존재의 디자인이 시작되는 것임.
의 경우에는 디지털 이미지를 포함한 사진, 영화, 텔레비전, 비디오 등을 모두 기계적 이미지로 간주하였고, 이러한 기계적 이미지의 생산에는 촉각이 개입되고, 평면적 표면에 형성되는 이중적 표피의 성격을 가진 이미지로 규정하였다. 그는 기계적 이미지의 생산은 깊이로부터 해방이라 주장하였고, 이러한 기계적 이미지들은 미지의 것이 현실화 되었기 때문에 무수히 많은 정보를 생산해 낸다는 긍정적 견해를 밝혔다.
디지털 이론가 중 몇몇은 발터 벤야민이 주장했던 기술 복제시대에 사라지는 아우라의 존재에 대해 재해석하여, 상실된 아우라가 디지털 이미지에서 다시 등장 한다고 역설하였다.
마치면서
컴퓨터의 등장으로 인해 디지털이 생겨남으로 세상은 과거와 현재라는 전혀 다른 형태로 양분되어 점점 극단화 되어가고 있으며 컴퓨터의 등장은 두 가지 결과를 낳았다.
첫 번째로 이제까지 인간의 지성능력 중에서 최고의 것으로 여겨졌던 수학적 사유가 기계화가능하다는 사실이 드러남으로써, 인간은 새로운 과제, 즉 직접 계산을 하는 게 아니라 계산기를 프로그래밍하는 과제, 다시 말하면 숫자의 우주를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과제를 갖게 되었다. 두 번째는 이 계산기가 단지 계산만 하는 게 아니라, 동시에 종합할 수 있다는 사실, 다시 말하면 숫자들을 형상으로 합성할 수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고, 이 두 가지 결과로 인해 ‘디지털 가상’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현재에 이르러는 모든 예술형식을 디지털화함으로써 현재의 미디어는 엄밀한 분과 학문이 되었고, 계속하여 생산되는 ‘디지털 가상’은 우리 주위와 내부에서 끊임없이 실현되고 있는 현실이 되어버렸다.
디지털은 이론적이고 언어적인 장치이기 때문에 학습하지 않고서는 상세히 알기 어렵다. 그럼에도 디지털에 대해 비판적인 사람들은 디지털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이 디지털의 비현실적 이미지, 체온 없는 이미지, 아날로그적 친숙이 없는 이미지 등 자본주의 사회가 극단적으로 소외되는 과정과 연관이 있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지금의 디지털에 대한 논란은 초기 인상주의의 출현에 대한 논란과 유사하기도 하다. 새로운 이미지인 인상주의 화풍에 대한 비판, 즉 깊이 없는 이미지, 평평함, 불확실한 이미지 등은 디지털의 비판과도 유사하다. 인상주의의 경우에는 ‘시각의 혁명’을 불러왔지만, 디지털 이미지의 경우에는 지각과 사유의 혁명을 불러일으키고 있음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논문 자료>
영화의 이미지와 기호를 통해 본 사유의 문제 : 들뢰즈의 영화론을 중심으로.
신재풍 (홍익대학원)
영화 이미지의 두 가지 유형 분석 -들뢰즈의 <운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를 중심으로 허정아 (연세대학교)
영화 속에 재현된 디지털 이미지의 시간성- 프랑스의 디지털 미학 이론을 중심으로
(Le temps de l'image numerique dans le film) 심은진
<도서 자료>
들뢰즈 영화와 이미지-사유의 관계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신제임
들뢰즈와 영화, 민음사, 1991년. 박성수
들뢰즈의 철학, 민음사, 2002년. 서동욱
질 들뢰즈의 시간기계, 그린비, 2005년.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 김지훈 역
디지털 영상예술 코드 읽기, 아이공, 2003년. 대안영상문화발전소 아이공 엮음
디지털 영화의 미학, 문학과학사, 2001년. 박성수
하이테크 시대의 SF 영화, 한나래, 1995년. 김진우
훤히 보이는 디지털 시네마, U-북, 2006년. 김현빈, 김기호, 김진서 외
디지털 시네마의 이해, 책과길, 2006년 찰스 S. 스와츠
<미디어 참고 자료>
http://blog.naver.com/freework?Redirect=Log&logNo=10934663
http://www.dbpia.co.kr/view/ar_view.asp?arid=494237
http://cafe.naver.com/artnstud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269
http://blog.naver.com/greyrain?Redirect=Log&logNo=60007577252
http://cafe.naver.com/postmodern5.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8
http://cafe.naver.com/gaur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2281
http://blog.naver.com/alain1st?Redirect=Log&logNo=40039736969
http://cafe.naver.com/artnstud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529
http://www.artnstudy.com/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0.01.11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33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