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 수업 지도안 - 언어 생활과 규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과 수업 지도안 - 언어 생활과 규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교재 및 단원명
Ⅱ. 단원의 개관- 단원 선정의 이유
Ⅲ. 학습 목표
Ⅳ. 교육 과정과의 관련성
Ⅴ. 실생활과의 관련성- 전 학년과의 연계성
Ⅵ. 지도상의 유의점
Ⅶ. 단원 교수 및 학습 계획
Ⅷ. 평가상의 유의점
Ⅸ. 본시 학습 지도안

본문내용

어로 표준어를 설정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넓은 땅은 아니지만 방언차가 있어서 국가적으로 서울말을 표준어로 정해 놓고 있다.
그런데 표준어를 바르고 좋은 순정 언어(醇正言語; correct language)의 개념으로 이해하다 보니 방언은 상대적으로 나쁜 가치를 지닌, 배격해야 할 언어인 양 오해를 주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표준어와 방언은 국어가 발전하는데 상보적 관계를 갖기 때문이다.
(2) 방언의 의의
방언은 낱낱의 사투리가 아니다. 그것은 어느 지방을 막론하고, 소리낱말말본상으로는 저마다 다르지만, 일정한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것이 구체적으로 부려쓰이는 한, 개별성과 사회성을 띠게 되며, 그 뜻도 쓰이는 문맥과 환경에 따라 달리 나타난다. 방언은 지역 사회 주민의 일상 생활어이며, 지역 문화어라는 점에서 과소 평가할 수 없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부려쓰이는 방언은 비록 순간적이긴 하나, 지역 사람들의 머릿속에 갈무리되어 오래 간직된다. 방언이 향토성과 고유성을 띠는 것은 바로 이러한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방언은 현재 살아 있는 언어 자원이거나 문헌으로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현대 표준말에는 없는 여러 가지 고대 언어를 재구해 내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된다.
《참고자료》2. 통신언어(chatting)에 대한 긍정적 견해
다양한 성향의 사람들을 일정한 형식 규범 없이 만나면서 새로운 정보 공유의 가능성을 열어 가는 대화방에서 이루어지는 전자 대화에는, 누군가가 꼬집었듯이 ‘참을 수 없는 가벼움’도 있고 허풍도 있다. 이러한 다양성과 그에 따른 부정적인 면은 일상 언어에도 있다. 굳이 부정적인 면을 새로운 언어 형식에서 찾을 필요는 없다.
대화방에서의 글쓰기는 표면상으로는 글말쓰기이지만 일반적인 글말쓰기와 다른 점이 있다. 일반적인 글말은 읽기를 전제로 하는 것이므로 독립적 영역으로 일정한 규범이 필요하지만 대화방에서의 글쓰기는 대화를 글쇠판과 모니터가 전사해 주는 종속적 구실을 한다. 그렇다고 일반적인 대화와 같을 수는 없다. 그래서 느낌이나 표정이 필요하고, 맞춤법 파괴나 특수기호에 의한 느낌 언어로 문자 통신의 한계를 벗어나고자 하는 몸부림이 보이기도 한다. 흔히 신세대를 텔레비전과 비디오로 상징되는 영상 세대라 하는데, 이러한 특성을 문자 통신에 결합시킨 것이 위와 같은 느낌표정 언어라고 볼 수도 있다.
《참고자료》3. 통신언어(chatting)에 대한 부정적 견해
통신언어는 대화방이라는 사적 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당히 규범에 벗어난 언어로 구성된다. 통신언어는 현실 언어와 확연히 다른 양상을 보여 주는데,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 ‘과도한 말줄임(축약)현상’, ‘은어(隱語)사용’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새로운 표현 양식으로 보는 사람들은 다음의 근거―① 새로운 사물을 지시하기 위해 용어를 처음으로 만들고 ② 형식과 격식이 없는 구어체의 표현을 사용하고 ③ 줄임말을 사용하며 ④ 특수한 문자 등을 사용하여 표정이나 감정을 표현한다―를 제시한다. 그러나 무분별한 통신언어의 오남용을 새로운 네티즌들에겐 의사 소통에 있어서 높은 장벽이 됨과 동시에 키보드 세대에겐 언어 혼란 등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언어 파괴이다.
PC 통신을 이용하는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것을 생각할 때 이미 통신 언어는 특정 계층에만 통용되는 은어일 수 있다. 따라서 정제되지 않은 통신언어의 무분별한 사용은 지양(止揚)되어야 한다. 특히, 우리 어법을 구사하는 능력이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들에게 소리나는 대로 표현하면 된다는 잘못된 생각을 심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언어와 사고의 관계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므로 잘못된 언어 사용은 탈규범적인 사고로 발전한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언어와 문화는 불가분(不可分)의 관계에 있다고 한다. 언어는 문화 속에서 형성되었고, 언어는 문화를 반영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모든 언어는 역사적 존재이다. 역사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중의 하나는 변화이다. 따라서 언어는 끊임없이 변화의 과정 속에 있다. 규범을 지키는 것이 때로는 불편해 보일 수 있으나, 우리가 우리말의 규범을 부정한다면 과연 누가 그것을 지켜 줄 것인가? 우리말을 스스로가 사랑하고 가꾸는 자세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통신용어뿐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비규범적인 언어 현실을 바라보며 우리말에 대한 자성(自省)의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평가 항목>
구분
평 가 기 준
점 수
매우 그렇다
(25)
그렇다
(23)
그렇지 않다
(21)
매우 그렇지 않다
(19)
모둠 평가
모둠 구성원끼리 협동하여 토의하면서 의견을 모았는가?
다른 모둠의 발표를 잘 들었는가?
개인 평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적절히 잘 활용하였는가?
모둠 구성원들과 잘 협동하여 진행하였는가?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과제에 임했는가?
규범에 맞는 언어 생활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는가?
규범에 맞게 언어를 사용하려는 태도를 지니게 되었는가?
<차시 학습 계획>
1. 학습 목표
(1) 국어 규범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안다.
(2) 일상 생활의 주변에서 규범에 어긋난 예를 찾을 수 있다.
(3) 국어 규범을 지키기 위한 바람직한 태도를 가지려고 노력한다.
2. 학습 진행 계획
- 모둠별로 수행해 온 과제를 발표하고 발표한 내용을 과제장에 작성한다.
3. 평가 계획
(1) 모둠 구성원들이 자신의 모둠 활동을 평가한다.
(2) 다른 모둠의 활동을 평가한다.
◆ 각 모둠별로 국어의 중요 규범에 대해 조사하고 규범이 어긋난 예를 20개 이상 찾고 고쳐본다.
<1모둠: 한글 맞춤법>
(1) 정의:
(2) 예
1) 김치찌게 → 김치찌개
<2모둠: 표준어>
(1) 정의:
(2) 예
① 돐 → 돌
<3모둠: 외래어 표기법>
(1) 정의:
(2) 예
① 초코렛 → 초콜릿
<4모둠: 한글 로마자 표기법>
(1) 정의:
(2) 예
① 신라(Shilla) → Silla
<5모둠: 어법>
(1) 정의:
(2) 예
① 내일은 비가 예상됩니다. → 내일은 비가 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6모둠: 표준 발음>
(1) 정의:
(2) 예
① 볶음밥[뽀끔밥] → [보끔밥]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8.03.25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7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