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적 정체성 - 이론 사례와 도덕 교육에서의 정리까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덕적 정체성 - 이론 사례와 도덕 교육에서의 정리까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도덕적 정체성(자아)
① 데이먼
② 블라지
③ 정리
2. 나의 사례에서 찾기
① 사례
② 분석내용
3. 도덕교육에서의 적용
① 교과서
② 생활지도
-참고문헌

본문내용

느 친구보다도 그 중요성을 알고 생활 속에서 실현하려 노력하지만 행동을 옮기지 못했어요\"
-도덕적 행동을 하지 못했던 경험에서 자신이 느낀 점을 얘기해본다. 아동들은 부끄러움, 후회, 죄책감 등의 느낌을 말할 것이다.
-교사는 아동이 자신이 알고 있는 도덕적 지식을 행동으로 옮기지 못한 것에 대한 죄책감과 후회에 대해 격려를 한다. 아는 것을 실천하지 못한 것에 대해 무조건 비판할 것이 아니라 그러한 느낌을 가지는 자체가 휼룽한 점이라는 것을 지적해야 한다.
▣정리
-자신이 느꼈던 후회나 죄책감등이 긍정적인 것을 인식한 아동에게 교사는 자신이 진정한 그 도덕적 가치를 지닌 인물이 되기 위해서는 관련된 행동을 실천하고 뿌듯함과 자긍심을 느껴야 함을 말한다. 즉 자신이 도덕적 행동을 하지 못한 결과에서 얻는 후회와 죄책감 등의 감정보다 도덕적 행동을 하고 난 뒤 자신이 온전히 그러한 도덕적 가치를 가진 인간이 되었음을 느끼는 감정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또 교사는 아동이 교실 안과 밖, 즉 일상적인 삶 속에서 자신의 행동을 항상 도덕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그 행동에 대해 반성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2) 6학년 자기 행동에 대한 책임감
▣도입
-해당 학년은 초등학교에서 가장 인지발달이 두드러진 고학년 학생들이므로 교사는 전 단원 \'자긍심과 자기계발\'을 언급하며 자신의 성격 중 도덕적인 면모를 갖추려고 노력하는 해당 학생들에게 칭찬을 한다. 이 때 학생들은 자신에 대한 자긍심을 느낄 수 있다.(분위기조성)
▣전개
-자신이 원하는 도덕적 정체성을 가진 한 사람을 뽑는다. 이는 미리 전 날 과제로 제시한다. 학생들은 자신이 원하는 도덕적 덕목과 가치에 따라 서로 다양한 인물을 제시하고 자신이 왜 그 인물을 존경하는지 이야기 한다. 이러한 활동은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도덕적 통합의 모델을 찾고 또 자신이 어떤 도덕적 덕목을 중시하는지 알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신의 생활에 비추어 닮고 싶은 인물이 가지고 있는 도덕적인 면모를 실천했는지 서로 생각해본다. 닮고 싶은 인물과 같은 도덕적 정체성을 가진 사람이 되기 위해서 행동했다면 칭찬하고 만약 그러지 못한 경험이 있다면 교사는 학생에게 자신이 옳다고 생각한 도덕적 이해에 책임감과 의무를 가지고 있었는지 확인한다.
-교사는 학생이 도덕적 행동을 하지 못했더라도 그 행동에 대해서 감정적 반응을 느끼거나 그러한 행동에 대한 책임감과 의무감을 학생들과 대화를 통해 도출한다. 또 교사는 그 감정과 책임감이 자신이 원하는 인물이 되고 있는 과정 중에 하나라고 말한다. 즉 교사는 학생이 \'해야 하는데....\'라고 느꼈던 사고와 책임감은 해당되는 도덕성을 행동하기 위한 주인이 되었다고 강조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교사의 말이 있을 수 있다.
-\"A야, 비록 네가 무단횡단을 했지만 \'횡단보도로 건너야 한다는 규칙을 지켜야 하는데..\'라는 의무와 책임감을 느꼈니?\" \"네\" \"그렇다면 너는 이미 준법정신을 지키려고 행동하는 주인이란다.\"
▣정리
-교사는 학생이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는 것 이상으로 자신의 이상대로 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자신의 이상적 인물은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행동이 아니었음을 끝으로 언급하며 학교 안과 밖에서 꾸준히 자신의 이상을 실천하도록 강조한다.
②생활지도
블라지는 도덕적 정체성이 형성되기 위해 아동의 자아를 선함, 정의로움 등과 같은 도덕적 개념을 중심으로 형성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교사는 틈틈이 생활지도로서 학생의 행동에 \'도덕적 개념을 자아에 귀속\' 시키는 언행을 추구해야 한다. 학생의 작은 변화도 놓치지 않고 도덕적인 행동을 보인 것에 대해 \"A야 그런 말을 하다니 넌 참 정직한 아이구나.\", \"B야, 선생님이 하교하는 길에 우리 B가 다친 친구를 부축하면서 가는 걸 보았어요. 아픈 친구를 부축하면서 가는 너의 행동을 보니 B가 친구를 배려하고 도와주는 사람인 것을 알았어.\"등의 말을 해야 한다. 이는 교사가 말한 발언에 의해 아동이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자아를 도덕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형성하게 하는 계기가 된다.
그리고 수업 외적으로 교사는 자신이 학생에게 칭찬한 것을 바탕으로 평소 관찰지에 누가 기록해 놓음으로써 한 달에 한 번 \'성실 왕\' \'봉사 왕\' \'자주 왕\' 등의 도덕적 개념을 위주로 하는 아이들을 뽑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보상은 학교장의 직인을 받은 권위적인 상도 아니고 특정 경연을 통해서 뽑힌 상도 아니다. 하지만 학급 내에서 주는 도덕적 개념과 관련된 교사의 자주적인 상은 학생들에게 자아를 도덕적인 것을 중심으로, 본질인 것으로 인식하게 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상을 받지 못한 아동은 박탈감 때문에 도덕적 자아를 기를 수 없는 한계가 생길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교사는 도덕적 정체성은 개인차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학생이 잘못한 점에 대해 \"C친구, 선생님은 C가 원래 이런 행동을 하려는 친구가 아닌 걸 알아요. 선생님이 보니까 C친구는 늘 성실하고 친구들도 잘 도와주려고 노력하는 친구였어. 그러니 다음부터는 정말 C의 모습을 보여줘야 돼. 알았지?\"라고 말해야 한다. 즉 잘못한 아동에게 교사는 아동이 원래는 도덕적 정체성을 가진 친구라고 생각했다는 것을 말함으로써 비도덕적 개념을 중심으로 자아가 생길 위험이 있는 아동을 다시 도덕적 정체성을 형성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
아동들은 학업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신체적·정신적, 그리고 도덕적으로 발달단계에 속하기 때문에 무엇이 올바르고 올바르지 않는지 늘 생활 속에서 배우기 마련이다. 따라서 교사는 생활 속에서 아동이 도덕적으로 한 사소한 행동까지도 칭찬을 하거나 아동의 성격에 대해 다시 한 번 기술해 보아야 한다.
참고 문헌과 자료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Kurtines, William M. 학지사 2004
『도덕 심리학』Lapsley, Daniel K. 中央適性 2000
『도덕 발달이론』Rich,John Martin 백의 1999
http://www.pa-class.com/zboard/view.php?id=dy_txtup&no=70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9.03.1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95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