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조란?
2-1. 시조의 형식 및 갈래
2-2. 형태상 갈래
3. 주제와 형식의 변화
4. 시조집
5. 시조의 주제와 작품
- 궁녀, ⌜압못세 든 고기들다⌟ , 작자미상, ⌜개를 여라믄이나 기르되⌟
1. 가사란?
2-1. 가사의 기본 형식
2-2. 가사의 갈래
3. 가사의 분류
4. 가사의 주제와 작품 - 정철,「성산별곡」 - 추사
2-1. 시조의 형식 및 갈래
2-2. 형태상 갈래
3. 주제와 형식의 변화
4. 시조집
5. 시조의 주제와 작품
- 궁녀, ⌜압못세 든 고기들다⌟ , 작자미상, ⌜개를 여라믄이나 기르되⌟
1. 가사란?
2-1. 가사의 기본 형식
2-2. 가사의 갈래
3. 가사의 분류
4. 가사의 주제와 작품 - 정철,「성산별곡」 - 추사
본문내용
것은 평시조 이후의 엇시조, 사설시조, 현대시조까지 이어지고 있다.
변화 (임진왜란을 겪은 후)
① 시조의 주제가 다양하게 변화하게 되었다.
- 작가 층의 확대로 주제도 다양해짐 → 솔직한 연애감정, 봉건제도의 모순에 대한 비판 등
② 형식적 특징
- 작가의 계층이 다양해짐.
- 선비 계급과는 차별되는 중인 계급의 자본주의적 경제능력 성장으로 인한 예술 욕구의 상승 등을 원인으로 3장 6구 45자 내외의 형식적 특징을 부분적으로 벗어난 엇시조, 사설시조 등이 나타남.
4) 시조집- ≪청구영언≫, ≪해동가요≫, ≪가곡원류≫는 3대 시조집으로 일컬어진다.
5) 시조의 주제와 작품
① 궁녀 - 압못세 든 고기들다 (엇시조)
압못세 든 / 고기들아 / 뉘라서 / 너를 모라다가 넉커늘 돈다
앞 못에 들어와 있는 고기들아, 누가 너희들을 이곳에 몰아넣었기에 들어와 있느냐
북해 청소를 / 어듸 두고 / 이 못세 / 와 든다
북쪽의 바다와 맑은 소는 어디 두고 이 못에 와 있느냐
들고도 / 못나는 정은 / 네오내오 / 다르랴
너나 나나 들고오고서는 다시 나가지 못하는구나
② 작자미상 - 개를 여라믄이나 기르되 (사설시조)
개를/ 여라믄이나 / 기르되 / 요 개갓치 / 얄
변화 (임진왜란을 겪은 후)
① 시조의 주제가 다양하게 변화하게 되었다.
- 작가 층의 확대로 주제도 다양해짐 → 솔직한 연애감정, 봉건제도의 모순에 대한 비판 등
② 형식적 특징
- 작가의 계층이 다양해짐.
- 선비 계급과는 차별되는 중인 계급의 자본주의적 경제능력 성장으로 인한 예술 욕구의 상승 등을 원인으로 3장 6구 45자 내외의 형식적 특징을 부분적으로 벗어난 엇시조, 사설시조 등이 나타남.
4) 시조집- ≪청구영언≫, ≪해동가요≫, ≪가곡원류≫는 3대 시조집으로 일컬어진다.
5) 시조의 주제와 작품
① 궁녀 - 압못세 든 고기들다 (엇시조)
압못세 든 / 고기들아 / 뉘라서 / 너를 모라다가 넉커늘 돈다
앞 못에 들어와 있는 고기들아, 누가 너희들을 이곳에 몰아넣었기에 들어와 있느냐
북해 청소를 / 어듸 두고 / 이 못세 / 와 든다
북쪽의 바다와 맑은 소는 어디 두고 이 못에 와 있느냐
들고도 / 못나는 정은 / 네오내오 / 다르랴
너나 나나 들고오고서는 다시 나가지 못하는구나
② 작자미상 - 개를 여라믄이나 기르되 (사설시조)
개를/ 여라믄이나 / 기르되 / 요 개갓치 / 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