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학 ) 중학교의 진로 상담 프로그램에 관한 체감 효과, 만족도 그리고 학생들의 응답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학 ) 중학교의 진로 상담 프로그램에 관한 체감 효과, 만족도 그리고 학생들의 응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논문제목
2. 연구의 목적
3. 이론적 배경
4. 연구 방법1) 연구대상2) 연구도구3) 분석방법
5. 연구결과
6. 논의 및 결론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만들면서 프로그램이 만들어져야 한다. 문제는 이는 혼자 작업하기 양이 많기 때문에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협력이 이루어지는 것 외에도 본 연구와 마찬가지로 학생들의 반응을 가능한 많이 들음으로써 부족한 점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학생들의 요구사항을 가능한 받아들이려고 노력해야 중학생과 고등학생이 필요로 하는 진로 상담 프로그램을 기획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현재 진로 상담 프로그램의 경우 대부분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중학생 혹은 고등학생의 현황을 잘 알지 못해 이러한 노력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 설계를 계속 반복해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획에서 그치지 않고 자유 응답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학생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를 해 학생들이 필요한 시기에 혹은 자신이 원한다면 언제든지 진로 상담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 대상의 진로 상담 프로그램에 관한 미래의 청사진을 그리는데 일부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가 현재 진로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와 만족도 그리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지만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먼저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한 중학교의 학생만이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위해서는 더 넓은 범위에서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경우 단일한 학교의 단일한 학년만을 살펴보았기 때문에 모든 진로 상담 프로그램을 대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진로 상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다른 학교들을 대상으로 단순히 2학년이 아닌 넓은 범위의 참여자를 모집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만족도와 효과를 조사할 때 각 분야별로 단일한 척도를 사용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설문 문항을 만들 때 참여자에게 의도를 숨기고 더 정확한 결과를 추출하기 위해 한 항목에 대해 여러 문항들을 사용한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각 항목에 대해 세부적으로 질문을 만들고 각 문항 간 신뢰도를 확인하여 연구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유 응답에 대해 분류만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후에는 자유 응답을 좀 더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같은 분류더라도 세부적인 요구는 다르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다루어보지 못했기 때문에 학생들의 요구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어 후속 연구에서는 이를 좀 더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계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세 가지 측면을 모두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세 측면을 모두 살펴보았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적절한 대처를 세울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만약 이 중 일부만 살펴보았다면 정확한 분석이 어려웠을 것이다. 만족도와 효과는 모두 조사해야 학생들이 단순히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뿐만 아니라 스스로 배운 것을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더 발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단순히 설문을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응답을 직접적으로 들으려고 했다는 점은 학생들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응답만을 살펴보았다면 너무 많은 자료로 인해 분석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시작으로 청소년 상담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더 좋은 진로 상담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더 많은 청소년이 진로에 있어 자신의 길을 찾을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7. 참고 문헌
김래경, & 장선철. (2015). 고등학생 진로 집단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청소년학연구, 22(1), 307-329.
김판환. (1997).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실시방법과불안 및 자존감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손은령, & 이순희. (2011). 국내 진로 집단지도 및 집단프로그램의 연구동향과 후속연구과제-2001 년 이후 논문을 중심으로. 교육연구논총, 32(2), 129-147.
윤석구. (2000).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 개념과 진로 성숙에 미치는 효과. 순천향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위성애. (2012). 중학생의 진로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조남옥, & 박명선. (2014). 국내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동향: 2004 년~ 2013 년 발표논문을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27(3), 181-198.
조병환. (2013). 진로교육프로그램이 문제행동 청소년의 진로의식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조성심, & 주석진. (2011). 생태체계관점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중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8(5), 61-81.
최윤정, & 김지은. (2012). 중· 고등학생의 진로발달 관련 변인 및 진로교육 경험과 자기주도 학습태도와의 관계: 다수준 분석의 적용. 아시아교육연구.
Guay, F. (2005). Motivations underlying career decision-making activities: Th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scale (CDMA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3(1), 77-97.
Oliver, L. W., & Spokane, A. R. (1988). Career-intervention outcome: What contributes to client gai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5(4), 447.
Super, D. E. (1963). Toward making self-concept theory operational. Career development: Self-concept theory, 17-32.
Zunker, V. G. (2002). Career counseling: Applied concepts of life planning.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키워드

  • 가격4,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21.06.09
  • 저작시기202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