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논문 )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제2장 연구에 관한 이론적 배경
제1절 진로발달 이론
1. 진로발달 이론
2. 사회인지 이론
제2절 진로 결정 수준과 진로 준비 행동
1. 진로 결정 수준
2. 진로 준비 행동
3.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
제3절 자기효능감

제3장 연구방법
제1절 연구모형
제2절 연구가설
제3절 조사대상 및 표본 추출
제4절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1. 자료 수집 방법
2. 자료 분석 방법

제4장 연구결과
제1절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제2절 주요 변인에 대한 응답 결과
1. 종속변인의 응답 결과
2. 예측 변인의 응답 결과
제3절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진로 결정 수준(이원 분석)
1. 개인 변인과 진로 결정 수준
2. 가족 변인과 진로 결정 수준
3. 학교 변인과 진로 결정 수준
4. 환경 변인과 진로 결정 수준

제5장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척도(4점)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4-7>과 같으며, 도움 행동 의도는 보통 수준을 3점으로 보았을 때 평균 2.86점으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나, 타 집단과의 의사소통, 지역사회의 미래비전은 각각 보통 수준을 3점, 2.5점으로 볼 때 평균 3.12점, 2.91점으로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최소
최대
평균
표준편차
환경변인
도움행동의도
1.00
5.00
2.86
0.95
타 집단과의 의사소통
1.38
5.00
3.12
0.54
지역사회의 미래비전
1.25
4.00
2.91
0.59
(N=470)
제 3절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진로 결정 수준(이원 분석)
1. 개인 변인과 진로 결정 수준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개인 변인 차이에 따라 진로 결정 수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이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에 따라 진로 결정 수준은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전공 여부의 경우 부전공 또는 복수 전공의 집단이 단일 전공인 경우보다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t값
성별
남성
여성
150
320
2.49
2.48
0.44
0.42
.153
전공 여부
단일 전공
부전공 및 복수전공
422
48
2.46
2.63
0.41
0.54
-2.090*
총 계
470
* p<0.05
또, 개인 변인과 진로 결정 수준의 상관관계를 파악한 결과, 연령과 학년, 합리적 의사결정 및 전공 선택에 대한 내적 동기 모두 정(+) 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사회복지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경우 개입 기술 효능감을 제외한 나머지 두 하위 변수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구분
개인변인
연령
학년
합리적 의사결정
전공 선택에 대한 내적 동기
자기효능감
클라이언트지지 효능감
치료기법 효능감
개입기술 효능감
진로결정수준
.162**
.130**
.167**
.218**
-.022
-.002
.019*
*p<0.05, **p<0.01
2. 가족 변인과 진로 결정 수준
가족 변인과 진로 결정 수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항목 모두 정(+) 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가족의 사회적 지지와 부모와의 친밀도가 높을수록 진로를 결정할 때 확신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분
가족변인
가족의 사회적인 지지
부모와의 친밀도
진로결정수준
.220**
.275**
**p<0.01
3. 학교 변인과 진로 결정 수준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학교 변인 차이에 따라 진로 결정 수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이원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습 경험이나 인턴십 경험에 따라 진로 결정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t값
실습 경험


122
348
2.53
2.46
0.43
0.43
1.554
인턴십 경험


455
15
2.48
2.43
0.43
0.34
.440
총 계
470
또, 전공 만족도와 자원봉사활동 시간이 진로 결정 수준 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한 결과, 둘 다 정(+) 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전공 만족도가 높고, 자원봉사활동 시간이 많을수록 진로를 결정할 때 확신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분
학교변인
전공만족도
자원봉사활동 시간
진로결정수준
.190**
.138**
**p<0.01
4. 환경 변인과 진로 결정 수준
마지막으로 환경 변인과 진로 결정 수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도움 행동 의도와 타 집단과의 의사소통, 그리고 지역사회의 미래비전 모두 정(+) 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그중 지역사회의 미래비전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분
환경변인
도움행동의도
타 집단과의 의사소통
지역사회의 미래비전
진로결정수준
.009
.112**
.163**
**p<0.01
제 5장 결론
본 연구는 사회복지교육이 급격히 확대됨에 따라 현장 인력의 전문성 약화라는 문제에 대하여 해결하는 방법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을 초기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생들이 진로를 선택할 때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어 그들의 진로 결정 수준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찾고, 이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들의 진로 결정 수준은 평균 2.48점으로 보통 수준인 2.5점과 비교할 때 비교적 낮은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개인 변인과 진로 결정 수준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 성별과 클라이언트 지지 효능감 및 치료기법 효능감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클라이언트 지지 효능감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진로 결정 수준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세 번째로, 가족 변인과 진로 결정 수준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 가족의 사회적 지지나 부모와의 친밀도는 진로 결정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네 번째로, 학교 변인과 진로 결정 수준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 실습 경험이나 인턴십 경험에 따라 진로 결정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전공 만족도가 높고 자원봉사활동 시간이 길수록 진로를 결정할 때 확신을 보인다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환경 변인과 진로 결정 수준의 관계를 파악한 결과, 도움 행동 의도와 타 집단과의 의사소통, 그리고 지역사회의 미래비전 모두 진로 결정 수준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진로 결정과 그들의 환경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실제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프로그램을 제작할 경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안병덕, (2015). 사회복지학전공대학생의 전공관련인식, 자원봉사경험 및 사회복지현장실습경험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협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황정민, 강종수, (2013). 자원봉사활동이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11, 236~252.
정진희, (2012).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호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가격4,8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22.08.09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66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