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중심의 한국문화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序

2. 한국 미술의 여명

3. 낙랑의 미술

4. 고구려의 미술

5. 백제의 미술

6. 신라의 미술

7. 고려의 미술

8. 조선의 미술

9. 근대의 미술

10. 현대의 미술

11. 결론

본문내용

기, 유영국, 남관 등이 화단을 장식하였다. 1952년부터 개최된 국전은 한국 미술을 정착시키는데 중요한 역활을 하였는데, 류경채, 김창락, 장리석, 임직순 등이 활약하였다.
조소 활동은 김복진, 김종영, 김경승, 윤효중 등이 선전을 무대로 하여 발표하였다. 1950년 이후는 국전을 무대로 다양한 재료의 사용과 추상풍의 철조계조각 등 국제적인 새로운 경향이 대두되었고 동상의 제작이 활발하였다.
건축은 서양문명이 들어옴과 함께 서양식 건축이 세워지기 시작하였다. 1909년 영국인이 르네상스식으로 설계한 덕수궁 석조전과 명동 천주교 성당, 그리고 러시아인이 파리의 개선문을 모방하여 설계한 독립문등은 초기의 대표적인 건물이다.
공예는 조선시대의 유산인 민속공예가 명백을 유지하고 있을뿐, 새로운 창조성이 나타나지 못했다. 그러나 전래적인 전통미와 서구적인 구조미의 융합에서 새로운 디자인을 창조하려는 노력이 펼쳐졌다.
4.현대의 미술
이땅에 포스트모던이란 새용어가 들어온 지도 몇년이 지났다. 포스트모던이 국내에 소개된 것은 미술에 초점을 맞출경우, 1985년 여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김복영 씨가' 후기 모더니즘에 있어서 미술의 과제'라는 강연을 하면서 미국과 영국의 포스트모던을 소개한 이래 이 이론은 모더니즘 진영의 기성평론가들에 의해 개괄적으로 연구, 분석되는 양상을 띠었다. 그러다가 1988년 부터 포스트모던 개년은 보다 젊은 30대 소장평론가들을 중심으로 해서 좀더 구체적인 논의에 들어가기 시작한다. 이재언 씨의 <한국 탈모던 미술의 논리와 양상>,<한국적 탈근대화를 위한 프롤레고메나>,윤진섭씨의 <한국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을 바라보는 하나의 시각>,<달마가 모나리자의 속옷을 훔친 까닭은>, 김현도 씨의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몇가지 상황 속의 메미니즘 비평>등이 대표적인 평문들이라 하겠다.
III. 結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반도적 자연환경과 우리 민족의 소박하고 꾸밈없는 성품은 한국 미술의 독특한 성격을 형성하였으며 세계적으로 훌륭하고 찬란한 미술품을 창조하였다. 같은 문화군에 속한 동양3국의 미술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기는 했지만, 각각 그 민족성과 풍토 양식에 따라서 독자적인 조형 미술을 형성시켰다. 전체적으로 볼 때 대륙인 중국은 형에 치우쳐 웅대한 무대의 배우를 연상시키는 데 비하여 섬나라인 일본은 색채에 치우쳐져서 화려하게 차린 기녀를 연상시킨다. 이에 비하면 반도인 한국은 소박하고 수수한 가정주부를 연상시키는 미술이라고 비유할 수 있다.
고구려와 신라,백제를 중심으로 한 삼국시대 미술에서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줄곧 계승되어 온 우리 미술의 특징은 부드러운 선율과 아담한 형태, 은근하면서도 구수하며 꾸밈없는 자연스러운 솜씨로 우리의 전통미를 형성시켜 왔던 것이다.
한국 미술의 형성과 그 변천과정을 이해하고, 그 속에서 전통미를 발견하도록 하는데 관심을 갖고 전통적 조형미를 오늘에 되살려 창조적인 미술문화를 이룩하는 한편, 찬란한 문화 민족으로서의 긍지를 갖게 하는데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겠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7.13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5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