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인사행정 개혁의 계획과 실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인사행정 개혁의 이론적 배경
1. 신보수주의와 신공공관리론
2. 조직변화의 이중핵심접근법

Ⅲ. 한국 인사행정 개혁의 이념과 계획
1. 공무원 감축
2. 정부관료제의 통제
3. 성과관리체제의 도입

Ⅳ. 한국 인사행정 개혁의 실제
1. 공무원 감축
2. 정부관료제의 통제
3. 성과관리제도의 도입

Ⅴ. 한국 인사행정 개혁의 쟁점
1. 인사제도들의 거버넌스간 갈등
2. 집권적 대 분권적 개혁전략의 갈등
3. 성과관리체제의 전제
4. 제도의 체계적 접근
5. 공직사회의 생산성제고를 위한 종합적 접근

(참고문헌)

본문내용

예산, 책임운영기관 제도화 등 성과관리제도들간의 정합성을 체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성과관리체제의 또 하나의 전제로 목표관리제와 성과상여금의 쟁점으로 제기되고 있는 평가제도의 객관성과 공정성에 관한 문제를 생각할 때, 그 사회의 신뢰(trust)의 수준이 중요하다. 부하에 대한 상관의 평가를 믿지 못한다면 성과관리체제가 근본적으로 작동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5. 공직사회의 생산성제고를 위한 종합적 접근
현행 인사행정 개혁과정에서 신축모형과 시장모형의 융합은 전통적 공직정서와 공무원상에 대한 강한 부정적 인식을 낳게된다. 이 과정에서 '관료때리기'가 강화되었고, 그 부작용으로 공직의 사기가 필요 이상으로 떨어지고, 나아가 유능한 관료의 이직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인사행정의 생산성을 제고하는 다른 영향변수인 공무원의 능력개발을 위한 훈련, 작업조건의 개선 등에도 균등한 관심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Klingner & Nalbandian, 1985: 191).
(참고문헌)
기획예산처. 2000. 「정부개혁백서」.
김근세·권순정. 1997. "작은정부?: 김영삼행정부의 정부규모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행정학보」, 31(3).
김근세·정정목. 2001. 「한국 중앙행정기관의 대표관료제에 관한 연구」. 중앙인사위원회 연구보고서.
서필언. 2000. "정부구조조정의 성과와 과제", 한국행정연구원 학술회의 발표논문집. 2000. 8. 25. 서울교육문화회관 별관.
오성호. 2000. "인사관리개혁의 평가와 쟁점", 한국행정연구원 학술회의 발표논문집. 2000. 8. 25. 서울교육문화회관 별관.
유민봉. 2002. 「한국인사행정론」. 서울: 박영사.
정만석. 2001. "역대정부의 정무직인사 현황", 「인사행정」, 7호.
조성식. 2001. "잘못된 인사제도가 공무원 경쟁력 망쳤다", 「신동아」, 2001. 10.
행정자치부. 2001. 「2001 행정자치부 백서」.
행정자치부. 2002. 「2001년도 주요업무 심사평가 결과 (2002. 1. 19)」.
Aucoin, P. 1990. Administrative Reform in Public Management: Paradigms, Principles, Paradoxes and Pendulums. Governance. 3(2).
Daft. R. 2001. Organization Theory and Design, 7th. Cincinnati: South-Western College Publishing.
Hood, C. 1991. "A Public Management for All Seasons?", Public Administration, 69(Spring).
Hood, C. 1994. Explaining Economic Policy Reversals.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Hood, C. 1995. 'Deprivileging' the UK Civil Service in the 1980s: Dream or Reality?. in Jon Pirre. ed. Bureaucracy in Modern State. Hants: Edward Elgar, 92-117.
Johnson & Libecap. 1994. The Federal Civil Service System and the Problem of Bureaucracy. Chicago: UCP.
Kim, K. 1995. Reshaping Government Bureaucra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yracuse University.
Kim, P. 2002. "Strengthening the Pay-Performance Link in Government: A Case Study of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Governing for Performance in the Public Sector, OECD-Germany High-Level Symposium, Berlin 13-14 March 2002.
Klingner, D. and J. Nalbandian. 1985. Public Personnel Management: Contexts and Strategies, 2nd.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OECD. 1996. Integrating People Management into Public Service Reform.
Peters, B. Guy. 1996. The Future of Governing: Four Emerging Models. 정용덕 외 공역. 1998. 「미래의 국정관리」. 서울: 법문사.
Pierre, Jon. 1994. The Marketization of the State: Citizens, Consumers and The Emergence of the Public Market. Paper presented at the "Governance in a Changing Environment" Conference, CCMD, Ottawa, Canada, April 13-16, 1994.
Pollitt, Christopher. 1993. Managerialism and the Public Services, 2nd. Oxford: Blackwell.
Rainey, H. 1998. "Assessing Past and Current Personnel Reforms", in B. Guy Peters and D. Savoie, eds. Taking Stock: Assessing Public Sector Reforms. CCMD.
Talbot, C. 1997. "UK Civil Service Personnel Reform",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12:4.
West, W. 1995. Controlling the Bureaucracy: Institutional Constraints in Theory and Practice. Armonk, NY: M.E. Sharpe.
  • 가격2,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2.10.05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2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