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70년대 한국 멜로드라마 영화의 여성 주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문제제기 1
제2절 이론적 논의 2

제2장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4
제1절 연구문제 4
제2절 연구대상의 선정 5
제3절 연구방법 6

제3장 1960-70년대 여성들의 사회경제적 조건과 담론적 공간8
제1절 여성들의 사회경제적 조건 8
제2절 담론의 공간 10

제4장 멜로드라마 영화에서의 여성 주체성 13
제1절 가족멜로드라마-<로맨스 그레이> 13
제2절 청춘멜로드라마-<맨발의 청춘> 16
제3절 모성의 멜로드라마-<미워도 다시 한번> 19
제4절 호스티스 멜로드라마 - <별들의 고향>, <영자의 전성시대> 22
제5절 사회성 멜로드라마-<바보들의 행진> 27

제5장 여성 주체성의 형성과 변화 29
제1절 내러티브에서의 여성 주체 위치의 변화와 지속 29
제2절 담론 접합을 통해 구성되는 여성 주체성 32

제6장 결론 36

참고문헌 38

본문내용

정미 (역), 현대사회의 성과 사랑, 에로티시즘-친밀성의 구조변동, 새물결.
Hall, S. (1992). The Question of Cultural Identity, S. Hall & T. Mcgrew(eds), Modernity and Its Futures, Cambridge: Polity Press. 전효관·김수진 외(역), 모더니티의 미래, 현실문화연구.
_______ (1996a). Who Needs Identity, S. Hall & P. Du Gay(eds), Questions of Cultural Identity, London: sage
_______ (1996b). On Postmodernism and Articulation, 임영호(역), 포스트모더니즘과 접합, 스튜어트 홀의 문화이론, 한나래.
Han, J. & Ling, L.H.M. (1998). Authoritarianism in the Hypermasculine State: Hybridity, Patriarchy, and Capitalism in Korea,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42(1).
Haskell, M. (1974). From Reverence to Rape: The Treatment of Women in the Movies,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Johnston, C. (1973). Women's Cinema as Counter Cinema, B. Nichols(ed.), Movies and Methods,ⅱ,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___________ (1975). Femininity and Masquerade: Anne of the Indies, Jaques Tourmeur, Edinburgh: Edinburgh Film Festival.
Kim, Hyun Sook (1998). Yanggongju as an Allegory of the Nation: Image of Working-Class Women in Popular and Radical Texts, E. H. Kim, & C. Choi (eds), Dangerous Women: Gender and Korean nationalism, New York:Routledge.
Kuhn, Annette (1994). Women's Pictures: Feminism and Cinema, London: Verso.
Laclau, E. & Mouffe, C. (1977). Hegemony and Socialist Strategy, 김성기 외(역), 사회변혁과 헤게모니, 터.
Laplace, M. (1987). Producing and Consuming the Woman's Film; Discursive Struggle in Now, Voyager, C. Gledhill(ed.), Home is Where the Heart Is, London: BFI Publishing.
Moon, S. (1998). Begetting the Nation: the Androcentric Discourse of National History and tradition in South Korea, E. H. Kim, & C. Choi (eds), Dangerous Women: Gender and Korean nationalism, New York: Routledge.
Mulvey, L. (1975). Visual Pleasure and Narrative Cinema, Screen, Vol 16-3
Newbold, C. (1998). Analysing the Moving Image: Narrative, A. Hansen et al.(eds), Mass Communication Research Methods, London: Macmillan Press.
Ning, M. (1994). Spatialty and Subjectivity in Xie Jin's Film Melodrama of the New Period, N. Brown et al.(eds), New Chinese Cinemas: Forms, Identities, Polit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ark and Cho (1995). Confucianism and the Korean family,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vol. 26, No. 1.
Rosen, M. (1973). Popcorn Venus: Women, Movie and the American Dream, New York: Coward McCann & Geoghegan.
Sarsby, J. (1983). Romantic Love and Social Change, 박찬길(역), 낭만적 사랑과 사회, 민음사.
Silvermann, K. (1995). Dis-Embodying the Female Voice, 서선영(역), 육체에서 분리된 여성의 목소리, 시네-페미니즘: 대중영화 꼼꼼히 읽기, 과학과 사상.
Turner, G. (1993). Film as Social Practice, London: Routledge.
_________ (1998). Cultural Studies and Film, J. Hill & P. C. Gibson(eds), The Oxford Guide to Film Studi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Watson, S. (1977). Nations and States: An Inquiry into the Origins of the Politics of Nationalism, Westview: Boulder.
White, P. (1998). Feminism and Film, J. Hill & P. C. Gibson(eds), The Oxford Guide to Film Studi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41페이지
  • 등록일2003.04.27
  • 저작시기200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27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