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문화&역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철 학
Ⅰ 철학의 목적과 가치
Ⅱ 토플러의 제3의 물결
Ⅲ 순자-예를 배워야 사람이 된다
Ⅳ 생의 철학과 실용주의의 진리관
Ⅴ 포스트모더니즘의 역사이해

■ 문 화
1. 문화의 정의와 특징
1)문화란 2)문화의 보편적 특징 3)문화의 속성
2. 문화의 종류
1)관념적 문화 2)물질적 문화 3)규범적 문화
3. 문화의 기능
4. 문화의 다양성과 동질성
1)문화의 동질화 2)문화 동질화의 원인
*이 밖의 문화의 종류와 다양성*

■ 역 사
I. 서론
II. 본론
1. 역사의 어원
2. 역사의 의미
a. 과거 사실로의 역사
b. 과거 기록으로의 역사
3. 역사의식
4. 인간의 자기 인식
5. 역사는 개인적 자아의 본체
III. 결론

본문내용

화(change)에 대한 조화와 균형의 감각을 가진다. 역사적 시간은 변화와 단절의 연속이다. 역사적 변화가 아무리 심하다 하더라도 역사의 특성은 연속성에 있다. 역사적 과거는 인간의 정신이 깃든 내면적 의미의 과거이다. 그러므로 역사는 현재를 주관하고 미래를 관망하는 힘을 발휘한다.
다섯번째로, 카의 말대로 과거의 빛을 통하여 현재를 바라보고 현재의 빛을 통하여 과거를 바라보는 동시에 다시 미래를 전망하는 전체적이며 종합적인 조망을 가지게 한다. 현재는 과거와 미래가 떨어져 나간 물리적, 양적 시간이 아니라 오히려 과거와 미래를 동시에 공유하고 있는 정신적, 질적 시간이라고 말할 수 있다.
4. 인간의 자기 인식
콜링우드는 '역사학의 이상(The Ideas of History)'에서 역사학의 기본적인 4개 조건을 제시하는 중 '인간의 자기인식'을 제시하였다.
" 나의 답은 역사학은 인간의 자기인식을 위한 것이라는 것이다. 인간이 자기를 인식한다는 것은, 인간에게 중요하다고 일반적으로 생각되고 있다 여기서 자기를 인식한다는 것은, 단순히 자기의 개인적 특성, 즉 타인과 자기를 구별하는 것을 인식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자신의 본성을 인식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으로서의 자신의 본성을 인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베른하임도 역사학의 가치는 인간이 자기 자신을 인식하는데 있다 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역사학은 인간에게 자기 지식과 자기 인식을 가르쳐 과거의 사건이나 상태가 어떻게 해서, 그리고 무엇으로 생성되고, 무엇이 장차 그런 것에서 생성될 것인가를 알게 하여 과거의 사건이나 상태에서 현재의 그것을 이해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근거로 생각할 때 우리는 역사를 통하여 다음의 몇 가지를 인식할 수 있다.
첫째, 역사학은 인간과학이지만 단순한 인간과학이 아니라 시간선상에 있는 인간에 대한 과학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나'라는 개인적 존재를 놓고 생각해 볼 때, 우리는 역사의 연구를 통하여 개인적으로 내가 어떻게 태어나서 어떻게 살아서 오늘에 이르렀는가를 인식함으로 지금 내가 무엇을 할 수 있는 사람이며, 또 무엇을 해야 할 사람인가? 그리고 무엇을 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민족적으로 우리의 민족이 어떠한 역사적인 경로를 밟아서 오늘에 이르렀는가를 올바르게 파악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특성을 지닌 오늘의 우리 민족이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이며 해야 할 일이 무엇인가를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세계적으로 인류의 보편적이 세계사가 어떻게 시작되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오늘에 이르렀는가를 역사적으로 인식한다면, 오늘에 세계사가 당면하고 있는 과제가 무엇인가? 그리고 오늘의 인류가 공통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발견할 수 있다.
5. 역사는 개인적 자아의 본체
: 인간의 자기인식, 이것을 딜타이는 '자기인식(Selbstbewusstsein)'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는 이것을 인간이 인간일 수 있는 전제조건이라 했다. 그러면 '자기인식'이란 무엇인가? 그에 따르면, 파스칼은 인간을 가리켜 '생각하는 갈대'라 했는데, 이는 인간이란 갈대와 마찬가지로 한 방울의 물방울, 함 숨의 숨에 의해서도 쉽게 죽을 수 있는 존재이지만 그럼에도 인간이 갈대와 다른 것은 갈대와 같이 죽으면서도 왜 죽는지 그리고 죽을 인생을 왜 살아왔는 지를 생각하면서 죽는다는 것이다. 이처럼 죽으면서도 죽는 이유와 살아 온 이유를 생각한다는 것을 통하여 인간은 자기가 누구인지를 인식하게 된다는 것이다. 즉 여기서 인간의 자기인식이란 죽음에 대한 인식이며 그것을 기초로 한 삶에 대한 인식이다.
: 인간의 삶을 실존주의에서는 인간의 자기상실, 인간의 절망으로 규정하고 자기인식을 강조하여 단독자로서의 자아, 모든 것을 부정하고 부정할 수 없는 자아를 찾아됨을 강조한다.
: 인간이라는 존재는 결코 단독자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무수한 자아들의 연결고리의 매듭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나'가 있기까지에 존재했었던 무한한 자아들의 연결고리들은 과거요, '나'로 비롯되어 생겨날 새로운 자아들로 이루어질 연결고리의 망은 미래라는 것이다. 그리고 '나'는 이들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교량이며 현재라는 이름으로 불리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과거, 현재 미래로 연결되는 역사속에서 실존하는 인간의 삶을 생각할 때, 우리 개개인의 삶은 결코 단독자로서의 삶일 수 없고 그것은 역사적 삶인 것이다. 다시 말해서, 우리는 역사속에서 존재하고 있는 것이며, 역사가 이러한 수많은 자아들의 삶, 그것들로 연결된 고리의 망으로 구성된 것이라고 생각할 때, 우리의 삶은 역사적인 삶이며 또 반대로 역사는 자아들이 본체가 되는 것이다.
III. 결론
: 인간은 역사를 통해 그 나름대로의 존재의 당위성을 가질 수 있다. 역사적 기원을 통하여 자기 존재의 당위성을 확인한 사람은 자기에게 부여된 일이 무엇인가를 인식하게 된다. 그리하여 콜링우드는 역사연구를 '자기의 자아인식'을 위한 것이라 말한다. 인간은 역사적 기원을 통하여 그 자신의 존재 확인을 함으로써 해야 할 역사적 수행자(a historical carrier)로서의 임무를 알게 된다.
: 역사는 시간 개념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준다. 시간의 인식은 현재가 과거의 산물이라는 것, 그리고 진행되는 과정에서의 한 점이라는 것을 일깨워준다. 또한 역사의 이해와 역사의 과정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통해서 우리는 우리가 어떻게 사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게 사는 것인가를 알 수 있다.
참고 문헌
Bernheim· E, 역사학 입문, 박문각 역, 1993
Collingwood· R·G 역사학의 이상, 박광순 역, 범우사, 1985
이상현, 歷史로의 入門, 博文閣, 1993
임희완, (증보)역사학의 이해,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0
E·H· Carr, 역사란 무엇인가, 황문수 역, 범우사, 1994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역사철학강의, 삼성출판사, 1992
역사란 말의 뜻은 무엇인가?
(어원) http://mahan.wonkwang.ac.kr/jm/his/03.htm

키워드

  • 가격6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3.10.08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57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