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신화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만복사 저포기의 줄거리

1. 만복사저포기

2.이생규장전

3.취유부벽정기

4.남염부주지

5.용궁부연록

본문내용

등 평소 자신의 생각과 현실의 갈등 관계를 박생과 염라왕의 대화를 통해 문제 삼고 있으며, 저승을 부정하는 염라왕의 역설을 통해 자신의 생각이 정당하며 우위에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여기에서 염왕은 세간의 상식이 용인하는 염라왕이 아니다. 박생의 변론에 동조하며 인간을 심판하는 염라국을 오히려 부정하고, 백성을 그릇 인도하는 왕의 횡포를 비판하고 세상과 다른 생각을 가진 박생을 옹호하고 끝내는 그 박생이 마음에 들어 염라국왕의 자리까지 물려주는 데 이른다. 작자의 의도는 박생과 염라국왕의 대화를 통하여 오히려 염라왕이나 저승의 존재를 부인하고 거부하는 패러독스를 이용함으로서 현실적 행위와 사상을 더 강하게 부인해 보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매월당은 염라왕이라는 가상 인물을 통하여 작가가 처한 시대의 이념적 모순과 정치 사회의 모순을 극복해 보려는 의도를 이 작품을 통해 실현하려고 하고 있다
5.용궁부연록
시문에 능한 한생(韓生)이 표연(瓢淵)에 살고 있는 용왕이 보낸 사자를 따라 용궁으로 들어간다. 청의 동자(靑衣童子)의 안내를 받아 함인지문(含仁之問)을 지나 수정궁을 들어가니, 조강신, 낙하신, 벽란신의 세 신왕(神王)이 초대되어 와 있다. 용왕은 한생을 초대한 이유로서, 용왕의 딸의 화촉동방을 꾸밀 가회각(佳會閣)을 새로 지었기로, 그 상량문을 부탁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이에 한생이 상량문을 지어 주자 용왕은 잔치를 벌여 한생을 대접하는데, 먼저 미녀 10여명이 나와 벽담곡을 부르고, 총각 10여 명이 나와 회풍곡을 부르니, 용왕도 옥룡적을 불어 수룡음을 읊는다. 또 곽 개사가 나와 팔풍무를 추며 노래를 부르고, 현 선생이 나와 구공무를 추며 노래 부른다. 숲 속의 도개비와 산 속에 사는 괴물들도 나와 휘파람을 불며 노래를 불렀다. 이에 삼신이 각각 시를 지었으며, 한생도 20운을 지어 올렸다. 그리고 용궁의 문물을 구경시켜 달라고 하여 여러 누각과 보물들을 두루 구경하고, 용왕이 주는 명주 두 알과 빙초 두 필을 받아 가지고 나온다.
박연 소개/ 한생, 문사로 평판 있는 사람/ 용왕의 초청으로 용궁행
용왕의 환대와 상량문 요청/ 곧 지어 바침/ 용왕과 세 신의 감탄/ 연회/ 용왕의 신명난 노래/ 신하들의 다채로운 재주/ 가의 신들의 시/ 한생의 용궁 구경과 작별/ 용왕, 보내주며 전송
돌아옴/ 보배를 깊이 간직하여 보물로 삼고, 남에게 보이지도 않음./ 세상의 명예와 이익에 생각 두지 않고 명산 입산/ 어디에서 세상을 마쳤는지 알 수 없음.
<남염부주지>처럼 이 작품도 몽유록의 형식을 빌리고 있다.
새벽녘에 꿈을 꾼 것인데 그 꿈이 하도 선연하여 꿈속의 물건을 찾아보았더니 용왕에게서 받은 선물이 그대로 있었다고 하였다. 이런 수법은 운영전의 표현처럼 몽중사연을 현실에서 연결하려는 표현의 방법으로 설명될 수 있다. 세상의 명리를 생각하지 않고 명산에 들어가 자취를 감추었다는 말은 현실에서는 비록 실패자가 될 지라도 끝까지 자기의지를 굽히지 않고 세상으로부터의 횡포를 거부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나타낸 표현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1.24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42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