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생규장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생규장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의 줄거리 및 구조
-만남과 이별을 중심으로
2.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의 서사방식
3.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에서 한시의 역할
Ⅲ. 결 론

본문내용

페이지 참조
는 최랑의 성격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사대부집 규수로서 살랑이는 봄바람에 시름에 겨워 담장 밖의 총각을 그리워 하고, 더구나 제비가 되어 ‘주렴을 걷어 담장위를 넘어가리’라고 한 것은 당대의 사회적 윤리에 비추어 볼 때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나이 열 대여섯에 이른 여인에게 있어 온갖 꽃들이 만발하고 짝을 지어 노니는 꾀꼬리를 보면 살랑이는 봄바람조차도 원망스러운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최랑은 그러한 본연의 인간의 심성을 유교의 윤리로써 속박하지 아니하고 오히려 그에 충실하려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최랑의 적극적이며 대담한 성격은 다음의 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생이 몰래 담안으로 들어오자 최랑은 시를 지어 자신의 심정을 이생에게 치력한다.
도리(桃李)나무 얽힌 가지 꽃송이 탐스럽고
원앙새 베개 위에 달빛도 곱구나
복숭아와 오얏은 이생과 최랑을 의미하고, 원앙새 베개는 부부의 동침을 의미한다. 처음만나는 남자에게 그것도 미혼의 처녀가 던지는 시의 내용이 이러하다면 최랑의 삶에 대한 적극성을 가히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시에 대한 이생의 화답의 시는 이러하다.
이 다음 어쩌다가 봄소식이 샌다면
무정한 비바람에 또한 가련하리라.
봄소식은 두 사람의 사랑을, 비바람은 부모님의 노여움을 뜻하는 것이니, 최랑의 과감하고 적극적인 삶의 태도에 비한다면 능동적이며 주도적이어야 할 이생은 그렇지 못함을 보여 준다. 인간 본연의 심성이 규범과 윤리에 의하여 제약되고 속박받고 있다. 이생은 당대의 유교적 이념에 충실한 전형적 인물이기는 하나, 나약하고 그 이념에 철저하게 지배당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대장부로서의 의기조차 없는 나약한 성격의 소유자 인 것이다. 이런 것으로 이생과 최랑의 대조적인 성격을 알 수 있다. 이생의 부모가 드디어 최랑과의 혼인을 허락하는 것 또한 이생의 태도는 현실적이지 못하다. 불행을 대처하고 그것을 극복하는 것이 현실밖의 세계의 힘에 의하여 극복되어진 것이라 인식하는 것이 그가 할 수 있는 전부인 것이다. 이에 비하여 최랑은 앞날의 새로운 삶을 준비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삶의 태도를 보인다.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에서 한시가 하는 세 번째 기능은 정서의 긴장 기능이다.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은 서사문맥을 위주로 하는 서사문맥이면서도 작품의 곳곳에는 시가문맥이 등장한다. 따라서 수용자는 처음부터 일관된 정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정서의 변화를 갖게 된다. 이 변화는 서사문맥에 의한 것이 아니라, 서사문맥과 시가문맥의 교체에 의한 것이다.
<금오신화>는 그 표현매체가 한문이다. 따라서 당대에 한문을 읽고 이해할 수 있으며 감상하고 평가할 수 있는 계층이란 극히 한정된 사대부 계층임은 당연한 것이다. 고로 <금오신화>를 읽게 될 사대부계층은 시가가 가지는 속성을 온전하게 이해할 수 있었음을 뜻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곧 시가문맥을 읽을 때와 서사문맥을 읽을 때 갖게 되는 정서의 상태를 변별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서사문맥은 이들의 인물됨을 간략하게 서술하고 있다. 간략하게 서술한 까닭은 이들에 대한 세상 사람들의 평판으로써 대신하고자 함일 것이다. 그리고 한시를 사용함으로써 인물의 모든 것을 표현해 내고 있다.
서사문맥으로써 서술되었을 경우 수용자는 직접적 연관만이 있을 뿐인고로 이생이나 최랑의 인물됨에 대하여는 구체적이거나, 아니면 막연한 추상만이 갖게 된다. 그러나 수용자로 하여금 상상의 세계로 이끄는 역할을 한다. 수용자는 서사문맥이 시가문맥으로 바뀜에 따라 새로운 정서를 준비한다. 그 이유는 서사문맥과 시가문맥의 독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 새로운 정서는 이 시어의 비유성으로 상상의 세계로 이끌려진다. 따라서 수용자는 은유실체를 파악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이 때 서사문맥을 대하였을 때 가졌던 정서는 긴장을 하게 되는 것이다. 긴장된 정서는 수용자가 작품에 몰입하게 되었음을 뜻한다.
수용자는 서사문맥이 제시한 정경에 비추어 시가문맥에 나타난 심리를 읽어내야만 한다. 이러한 때 수용자의 정서는 긴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의 한시들은 만남의 기쁨이나 이별의 정한이나 슬픔을 극대화시키기까지 하여 서사문맥으로서는 표현할 수 없는 미적효과까지 거두고 있다. 한시는 그 자체의 속성으로 인하여 수용자가 서사문맥에서 갖지 못하는 새로운 정서를 갖게 하며, 또한 정서를 긴장케 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현, 「이생규장전의 한시연구」, 성대문학, 1987
Ⅲ. 결 론
<금오신화>속 다섯 작품 중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에 관해 많이 부족하지만 줄거리를 통해 작품의 구조를 살펴보았고, 작품의 서사방식. 그리고 작품 속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한시들이 갖는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물론, 이 내용으로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이라는 한 작품의 내적 또는 외적인 면을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최소한 우리가 이 작품을 공부하는 데에 있어서 밑바탕이 될 만한 것들은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기존에 알고 있던 것들과 이 내용으로 새로이 알게 된 점을 잘 조합하여 나갔으면 좋겠다.
-발표자 소감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이라는 작품에 관해 조사를 하면서 방대한 자료에 놀랐고, 정리하는 것도 꽤 어렵게 느껴졌다. ‘이걸 언제 다하나’하면서 엄살도 계속 부렸다. 조사한 자료 중 논문이 꽤 있었는데 그 글을 읽다가 보니 내가 모르는 것이 너무 많아 ‘이 부분을 어떻게 설명해야 하나’라는 걱정이 너무 많이 들었다. 부족하지만 정리를 하였고 내가 준비한 내용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하는 마음으로 마무리를 지었다.
-참고문헌
<논문>
여기현, 「이생규장전의 한시연구」, 성대문학, 1987
이대형,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의 서사방식」, 연세어문학30·31합집, 1999
최연희, 「애정 전기소설에 나타난 사랑과 죽음: <이생규장전>, <운영전>, <침생전>을 중심으로」, (목포: 목포대교육대학원), 2005
<저서>
이대형 . 「금오신화연구」, (서울, 보고사), 2003
구인환 엮음, 「금오신화」, (서울, 신원문화사), 2004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11.24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27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