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별곡론 - 정석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향가별곡론 - 정석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언

2. 작품명칭의 의미

3. 작품원문및 해석

4. 작품의 구성

5. 작품내용의 분석

6. 단어해석

7. 결어

본문내용

가 짙었지만, 결사(6연)는 그렇지 않다. 본사에서 이어지는 결사의 내용은 어떻게 보면 이어지지 않을 수 있으나, 의미는 상통한다고 본다.
본사의 내용은 '임'과 이별하지 않는 다는 것을 노래한다. 하지만 결사에 와서 만약 이별 했을때는 ~하겠다는 내용을 노래한다. 구성면에서 보면 작품이 조금 산만해 지지만, 임에 대한 사랑은 변치 않을 것이라는 하나의 주제에 맞게 되는 것이다.
6. 단어의 해석
1연- [딩하 돌하]
'정석'은 이 작품의 제 1연에 보이는 '딩아 돌하'와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서, '정(鄭)'은 '딩', '석(石)'은 '돌'과 대응된다는 점에서는 모두 같으나, 그 의미에서는 약간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즉, 징(鉦)과 돌(磬)은 악기의 이름으로, '정석'은 그 악기를 의인화한 것으로 보는 견해
) 梁住東全集 2권, (東國大學校 出版部, 1995년)P.335
, 또는 그와 같은 악기에서 나오는 소리 '딩 동'을 의성어로 나타낸 것이라고 보는 견해
) 金善姬, 韓國古典文學全集 p.236
가 있다.
2연- [삭삭기]
바삭바삭한것. 다른 문헌에는 찾아볼 수 없으나 [셰몰애]를 형용한 말이므로 건조한 상태를 말한 것이 아닌가 싶다.
3연- [三同]
세 묶음. 한 '同'은 열, 스물 또는 백묶음을 일컫는다.
4연- [텼릭]
융복. 옛 무관의 공복(公服)의 한 가지임. 호사스런 군복중 하나.
5연- [한쇼를 디여다가]
큰소를, 황소를 - 지어다가.
7. 결어
정석가는 실현될 수 없는 현실을 전제로 하여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을 노래한 작품이다.
내용이 과장적이고 역설적인 것 때문에 한층 더 강한 이미지를 풍긴다.
문학적 장르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정의를 내릴 수 는 없지만 민간에서 불리우던 것이 궁중으로 흘러들어가 사용되고, 문헌에 기록되어 졌을 것이라 생각된다. 형식, 내용면에서 볼때는 속요의 형식과 유사하기 때문에 고려 속요로 보는 것이 정석이다. 이는 조선의 노래와는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앞으로는 더 많은 자료가 발견되고 연구됨에 따라서 명확한 문학 작품으로 써 해석이 이루어 질 수 있다고 본다.
참고문헌
국어국문학회 편저, 고려가요·악장 연구(태학사, 1997년)
박노준, 古典文學硏究(韓國古典文學硏究會, Vol.4 No.1 [1988년])
金善姬, 韓國古典文學全集(良友堂, 1982년)
조동일, 한국문학통사(지식산업사, 1994년)
梁住東全集 2권, (東國大學校 出版部, 1995년)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2.09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66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