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유아교육의 성경적 기초과 유아세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독교 유아교육의 성경적 기초과 유아세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구약성경에 근거한 기독교 유아교육
1. 성경적 근거
2. 포로 이전의 교육
⑴ 신앙교육
1)율법을 통한 교육
2)제사장들에 의한 교육
3)의식에 의한 교육
⑵ 가정교육
⑶ 생활교육
3. 포로 이후의 교육
⑴ 가정교육
⑵ 회당교육
⑶ 학교교육
1) 초등학교
4. 맺는말

Ⅱ. 신약성경에 근거한 기독교 유아교육
1. 신약의 교육원리
(1) 신약의 근거
⑵ 교육원리
2. 신약의 교육 목적과 교육 내용
(1) 예수님의 교육
(2) 사도들의 교육

Ⅲ. 언약 사상에 근거한 기독교 유아교육
1. 언약의 개념
(1) 구약성경에서 나타난 언약
(2) 칼빈의 언약
2. 언약과 할례
(1) 할례의식의 고대의 관행
(2) 이스라엘의 할례
(3) 할례의식에 대한 교회사적 해석
3. 언약과 세례- 할례로부터 이어지는 언약의 표징
(1) 세례의 기원
(2) 언약표징으로서의 세례
(3) 유아들에 대한 언약의 표징으로서의 세례
4. 유아세례
(1) 유아세례의 성서적 근거
(2) 교회의 전통적 근거
(3) 신학적 근거
(4) 반유아세례의 견해
(5) 유아 세례에 내포된 교육적 의미

본문내용

16:16) 예수님이나 세례요한과 제자들은 세례를 베풀기 전 죄의 자백과 회개, 또한 말씀을 받아들일 수 있는 이들에게만 세례를 행하였다.(마3:6-8, 행2:41) 그런데 유아들은 신앙고백을 위한 믿음을 가질 수 없고 자백과 회개도 불가능하다.
3. 할례와 세례의 관계 단절성
구약시대의 할례는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사이의 언약의 증표가 되는데, 신약시대에 와서는 하나님과 하나님의 자녀 즉 영적 이스라엘 백성사이의 언약의 증표는 세례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이다. 구약시대의 할례는 유대인만을 위한 것이었고, 남자에게만 베풀어졌지만, 세례는 그리스도안에 있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것이므로 특정대상이 없다.
4. 세례 받은 유아에게 아무런 유익도 주지 못한다.
모든 어린이들은 세례 받음 없이 그리스도의 구원을 받는다.(마19:14, 요1:29,롬:12-21, 삼하 12:23) 어린이들은 죄가 없기 때문에, 세례를 받는 것은 아무런 유익이 없고, 혹시 죄가 있다 하더라도 유아세례를 통해서 중생 즉 구원을 받는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회개의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5. 유아에게 세례는 베풀며 성찬참여를 거부하는 것은 모순이다.
어린이들에게 세례를 베푸는 것이 정당하다면, 그들을 당연히 성찬식에 참여시켜야 한다. 그러나 유아세례론자들은 성찬식에는 참여할 만큼 철이 들지 않았다고 제한시키는데, 이것은 신약과 구약사이의 간격을 인정하는 것으로서 모순된다.
6. 후견인의 무책임한 서약
신약성경에는 결코 대부나 대모의 제도가 없을 뿐 아니라, 이들이 행한 약속을 전부 이행한다는 보장도 없고, 나아가서 이들의 생명이 빨리 끝나게 되는 경우에는 어떻게 할것인가? 믿음이란 하나님과 나와의 일대일의 개인적 만남이라 생각할 때, 유아세례를 시행함으로써 그 부모와 교회에 대하여 그 자녀의 양육책임을 지운다고 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④ 칼 바르트의 견해
- 초기에는 유아세례에 대해 강한 부정을 보였지만, 1960년대 "화해의 교리" 책을 저술하면서 약간의 생각을 변화를 보여줌. 유아세례가 초대교회에서 일찍부터 시작되었다고 해서 그것이 유아세례의 신학적 정당성을 입증하는 것이 될 수 없으며, 오리겐이나 시프리안의 증언에 따라서 그저 반성 없이 유아세례를 행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근거를 가진 일이 아니다.
주장
1. 세례 받는 자의 신앙적 결단 없이 베푸는 세례가 참된 세례가 될 수 있겠는가? 즉 부모·대부·회중 혹은 전 그리스도 교회의 대리신앙이 세례 받는 유아의 신앙으로 간주 할 수 있겠는가? 만일 이러한 대신앙의 원리를 승인한다면, 카톨릭의 공적사상이나 연옥교리가 다 허용된다.
2. 유아세례후 견신례(confirmation)와 같은 보충을 필요로 하므로 그것은 반쪽세례에 불과하다.
그러나, 칼 바르트는 유아세례를 받은 자가 다시 세례를 받는 것을 반대한다. 유아세례가 타당치 않은 의심스러운 방법으로 집행되었다는 것 때문에 그것이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⑤ 반유아세례론의 주장의 요약
- 반유아세례론자들의 주장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1. 성경적인 면을 고찰하여 볼 때, 유아세례론은 성경의 분명한 증거와 또한 유아세례가 시행된 성경의 실례가 전혀 없으므로 유아세례는 부당하다.
2. 유아세례론자들이 이야기하는 구약의 할례와 신약의 세례의 관계 곧 하나님의 언약적인 면을 고찰하여 볼 때 할례와 세례사이에는 커다란 간격이 있으므로 할례를 근거로 하여 유아세례를 실시함은 부당하다.
3. 유아세례의 문제를 신학적·교리 적인 면에서 고찰하여 볼 때, 세례는 믿을만한 이해 있는 신앙고백을 전제로 하여 시행되어져야 하는 의식인데 유아는 이를 이해하고 고백하는 믿음을 가질 수 없으므로 부당하다.
(5) 유아 세례에 내포된 교육적 의미
유아에게 베풀어지는 세례는 그가 약속의 자녀임의 표이고 인이다. 이 언약의 유효성은 지속적이다. 그러므로 유아에게 베풀어지는 세례는 성인 세례와 같이 중요성을 가진다. 하나님은 세례를 통하여 어린아이 안에 있는 신앙의 은혜를 강화하시고, 세례를 받은 이후에 은혜를 증가시킨다. 또한 부모에게 은혜를 준다. 유아세례를 통하여 부모는 그들을 교회 앞에서와 하나님 앞에서 서약을 지키며 서약을 생각하며 아이를 기른다면 그들 자신에게 임하는 은혜가 크다
유아 세례에 관한 교육적 책임은 교회와 부모 모두에게 올바로 인식되어야하며, 이에 따른 구체적인 기독교 교육 방안이 적극적으로 모색, 실행되어야 한다.
유아세례는 교회와 가정에서 협동 교육을 통해 양육시켜야할 책임이 요구된다. 먼저 부모는 지금 완전히 아이를 하나님께 바치며 겸손한 마음으로 하나님의 은혜를 의지하며 친히 경건한 본분을 이 아이에게 보이기를 진력하며, 이 아이를 위하여 기도하며, 이 아이와 함께 기도하며 우리 거룩한 종교의 도를 가르치며 하나님이 지시하는 모든 기관에서 진력하며 이 아이를 주의 양육과 교훈에서 성장케 하기를 서약해야 한다. 그리고 교회 역시 유아 세례 준비 교육에만 관심을 두는 것이 아니라 유아 세례 받은 자녀를 교회에서는 그 발달 단계에 따라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교육하여 서약한 사실 승인에 대한 내적이고도 공적인 참된 고백을 행동으로 옮기며, 하나님께 쓰임받는 올바른 제자로서의 도리를 열심히 실행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참고문헌]
김태원(1992), 기독교교육사, 육일 문화사
정정숙(1999), 기독교교육사, 베다니
정희영(2000). 기독교 유아교육론, 교육과학사
존 칼빈, 기독교 강요, 생명의 말씀사
케니스 O. 갠글 & 위렌 S. 벤슨 공저(1992), 기독교교육사, 기독교문서선교회
오자홍(1983), 세례의 중요성과 그 적용, 목원대학 신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경근(1986), 유아 세례에 관한 연구, 고신대학 신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종윤(1987), 할례에 비춰본 세례 성례전의 의미, 장로회신학대학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장소영(1998), 유아 세례의 교육적 의미와 실태 조사. 총회신학대학 학사학위논문
최성림(1995), 칼빈의 언약 이해 (기독교 강요를 중심으로), 고신 신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기독교 대백과 사전(1983), 기독교문사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4.04.22
  • 저작시기2004.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72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