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무동기 아이들의 실태와 동기부여 방식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연구를 시작하며

2. 동기화와 학습
2.1 동기화의 개념과 역할
2.1.1 동기화의 개념
2.1.2 동기화의 역할
2.2 동기의 종류
2.2.1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2.2.2 성취동기
2.2.3 학습동기
2.2.4 학습동기의 정의
2.3 학습 무동기의 원인

3. 실제 사례 조사
3.1 서울시 직업 체험센터
3.2 대안 학교 조사

4. 해결책 모색
4.1 학생의 역할
4.2 부모의 역할
4.3 교사의 역할
4.4 학교의 역할
4.5 사회의 역할

5. 연구를 마치며
5.1 연구 결과 요약
5.2 연구의 의의
5.3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6. 참고 자료

본문내용

들을 보호할 수도 없으며 그런 식으로 격리를 시켜서도 안될 것이다. 학교는 사회의 병폐와 모순을 막연히 감지하는 것에 더 나아가 이 모순을 좀 더 분명하게 알아 감으로 삶의 목표를 가지고 준비할 수 있게 도와야 하는 것이다.
4.5 사회의 역할
4.5.1학생들이 적응할 수 있게 돕는 프로그램 필요 하다. 자신을 돌아볼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과 이들이 학업을 중단할 경우, 어떤 선택 가능한 미래가 있는지에 대한 청사진을 그려볼 수 있는 프로그램.
4.5.2 학생들이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자아를 찾을 수 있는 대안학교와 그 외 공간이 필요하다. 사회가 일류 대학을 갈 소수의 청소년만을 '사람'으로 고려하고 그 외의 청소년들에 대해서는 전혀 신경 쓰지 않고 있다.
예) 하자센터, 간디 학교, 풀무원 학교
4.5.3 다양성을 인정하지 못하는 우리의 고정관념을 .
4.5.4 청소년 관련법이 합리적으로 개정되고, 정책 방향이 제대로 서서 청소년 보호와 육성 프로그램들이 만들어져야 한다.
5. 연구를 마치며
5.1 연구 결과 요약
기본적으로 학교에는 세 부류의 학생들이 있다. 첫 번째 부류는 공부를 잘하는 '모범생'들로서, 그들은 공부에 취미를 붙이든 교사와 씨름을 하든 나름대로 학교 생활에 애착을 갖거나 유용성을 보고 있다. 두 번째 부류는 아예 공부를 포기한 '날라리'들이다. 언제 중퇴할 지 모르는 상태에 있는 학생이라고 하겠다. 주로 이 두 부류에 드는 학생이 각각 전체의 10 ~ 20% 정도가 될 것이다. 나머지 60% 정도의학생들은 소극적으로 주어진 상태에 길들어 있는 이들이다. 때리면 맞고 공부한다고 열심히 앉아는 있지만 능률은 오르지 않고 자신은 머리가 나쁘다는 열등감에 싸여 있다.
그렇다면 대략 45만에서 60만정도의 청소년들이 떠돌이 생활을 하고 있다고 하는데 이 숫자는 현재 상황의 열악함을 감안한다면 그리 높은 비율은 아니다. 손승영 외, <학업중퇴자의 조사연구>, 《학업 중퇴자 연구 실태와 대책》, 연세대 사회 발전 연구소, 1995 학교는 학생들을 수용할 수 있는 한 수용하였다가 내보내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고, 이 원칙은 상당히 성공하고 있는 셈이다. 학생들은 '학교를 다니면 안 된다.'는 막연한 '탈락의 공포' 속에서 학교를 습관적으로 다니고 있고, 이런 만성화된 소외 상황에서 점점 더 자아 존중감을 잃고 생각 자체를 하지 않고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학업 의욕 상실자들의 문제를 일차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삶의 의지와 동기상의 위기는 저임금층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 이 문제는 실은 경제적으로 별 문제가 없는 중산층 가정에서 더 심각하다. 별로 살고 싶지 않다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왜 사는지에 대한 실존적인 질문이 아니라 그냥 무기력하고 하루하루 버티기가 힘들다고 한다. 이런 류의 학생들 중에는 제도적 모순 때문에 고민하는 이들은 드물고 단순히 학교 가면 재미없고 친구도 없고 아버지가 무서워 죽고 싶다는 식의 생각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많은 청소년들은 삶을 살아가는 탄력성을 기르지 못하여 순간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학생들 사이에 깔린 전반적인 패배주의와 자기 존중심의 상실, 그리고 나약함은 가장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대다수의 청소년들이 일관성 없는 사회에서 살아가야 한다는 점 일 것이다. 일상적 삶의 영역에서 비일비재하게 연출되는 이중성이 청소년들을 불신과 무기력에 빠뜨린다. 이에 부모는 신뢰와 인내심, 그리고 진정한 의미의 대화로써 학교는 혁신적인 학교 모습의 탈피,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할 것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사회는 사회차원에서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며 특히 청소년 관련법의 실질적인 개정과 진정한 의미에서의 청소년의 보호 육성이 되어야 할 것이다.
5.2 연구의 의의
사회는 이제 청소년의 존재를 소유적 가치로서가 아니라, 사회의 당당한 성원으로서 인정해야 한다. 청소년들에게 그들의 시간과 공간을 되돌려 주고 그들 나름의 축제를 열어가게 해야 할 때이다. 그리고 기성 세대는 그들의 성장을 기뻐하고 있음을 보여 주어야 한다. 학생들로 하여금 자기를 발산하고 표현할 수 있게 하면서 그들의 지적 신체적 성장을 어른들이 함께 나누는 기회를 마련해야 한다.
5.3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5.3.1상담이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 학습 무동기인 아이들을 전문 상담가에게 맡긴다고 해서 모두 일이 해결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아이에게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대하는 것이 중요하다.
5.3.2 삶의 무동기인 아이들 : 삶의 무동기의 한 부분으로 학습 무동기일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무동기에 대해서만 언급을 했지만 삶의 무동기인 아이들을 학습 무동기로 오인할 수 있는 소지가 있다. 삶의 무동기인 아이들은 학습 무동기보다 적극적인 대처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5.3.3 드러나지 않는 아이들 : 자신들이 문제를 가지고 있음을 터뜨리는 아이들이 있는 반면 겉으로는 너무나도 정상적으로 보이는 아이들이 이런 무동기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이런 아이들은 위험의 소지를 잠재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순간 자살로 이어진다거나 일탈행동을 벌일 수 있다. 이에 교사와 부모는 아이들에게 세심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해야 할 것이다.
6. 참고 자료
김계현 외,「학교 상담과 생활지도」, 학지사, 2001
도종수 외,「청소년 문제론」, 한국 청소년 연구원 , 1992
라영자, '우리학교, 열린 교육 운영의 문제점과 극복방안', 「열린 교실 연구」총합본, 전국 열린 교실 연구응용학회,1995
신명희 외,「교육심리학의 이해」 , 학지사, 2001
심성보, 학교교육의 위기와 대안학교 운동, 부산 교육대학교
임은미,임성진 「중.고등학생의 학업 동기 구조」, Asian Journal of Education 2001.Vol 2,No 1, pp.89-111
조혜정,「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또 하나의 문화, 1996
http:// www.haja.net
MBC 스페셜 2001년 2월 23일 방영 10대, 그들의 선택 하자(Haja)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4.06.07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44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