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에대한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판소리란

2.판소리 사설(辭說)의 표현 특징

3. 허두가의 실제와 그 성격
1) 허두가의 실제
2) 허두가 사설의 구성 방식

4. 소리판에서의 허두가의 기능
1) 판소리 창자에 대한 기능
2) 소리판의 형성과 분위기 조성
3) 소리판에의 동참의식 제고

5. 맺음말

본문내용

와 '나'로 구분하지 않고 '우리'로 결합시켜 주며, 함께 어울리고 있다는 일체감을 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중들은 제 삼자적 입장에서 소리판에 참여한 단순한 청중의 입장을 넘어, 소리판의 주체로서 참여하고 있다는 동참 의식을 느끼게 마련이다. 즉 남의 놀이를 구경하는 것이 아니라, 청중들 자신이 놀이판을 벌이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 동참 의식을 바탕으로 청중의 향락심리를 자극함으로써 소리판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허두가 사설의 대부분이 현재 시제·1인칭 화자로 되어 있다는 점도 동참 의식을 제고시키는 기능을 한다. 현재 시제이기에 청중들은 사설 속의 현장에 있는 듯한 착각에 빠지기 쉬우며, 1인칭 화자이기에 자신과의 동일시가 쉬워지기 때문이다.
결국 허두가는 청중들에게 주체적 동참 의식을 제고시킴으로써, 청중들이 판소리 소리판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끔 유도하고 있음이 분명히 확인된다.
5. 맺음말
지금까지 논의된 것들을 정리하여 결론으로 삼는다.
허두가는 판소리 창에 앞서 불리어지는 일종의 도입가이다. 허두가는 초두가·단가(短歌)·단가(端歌)·영산(靈山)·영산(瀛山) 등으로도 일컬어졌는데, 이 중 가장 널리 쓰여 온 명칭은 단가(短歌)와 허두가이다. 그런데 단가라는 명칭은 장르적 성격을 연상시키고 지칭 대상의 혼란을 야기할 수도 있으므로, 허두가라는 명칭을 쓰는 게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허두가의 기원과 발생 시기는 아직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적어도 19세기 중엽에는 허두가가 널리 불려지고 있었던 듯하다.
허두가는 그 생성 경로에 따라 창작된 것, 민요로부터 차용된 것, 판소리의 한 대목이 차용된 것 등 세 부류로 나뉘어지는데, 이 중에서 허두가의 주류를 이루면서 가장 널리 불려진 것은 창작 허두가였다. 허두가가 이처럼 세 부류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은 허두가를 어느 하나의 장르로 규정하기 어렵게 한다. 허두가는 아무런 장르적 전제 없이, 서창으로서의 기능만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면 자유로이 불리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허두가의 실상은 기능면을 중심으로 살필 때 가장 잘 드러나며, 무리한 장르 규정은 허두가의 본질을 훼손할 수 있다.
허두가 사설은 공식적 표현구와 공식화된 표현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은 단위의 공식적 표현은 단계적으로 더 큰 단위의 공식적 표현을 구성하며, 이때 병렬의 방식이 기본적 원리로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구성 방식은 한 작품의 이본들에서는 물론 서로 다른 작품들 사이에서도 두루 확인된다. 이런 공식적 표현들은 사설의 구성 단위들을 유형화시킴 줌으로써, 창자의 구연 및 사설의 후대적 전승을 그 만큼 쉽게 해 주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파노라마적 전개 방식은 사설 속의 핵심 어휘들을 시·공적 질서에 따라 단선적으로 연결하여 체계화시킴으로써 창자들이 사설을 외고 구연하는 데 보다 효과적이었으며, 이는 파노라마적 전개 방식을 쓰고 있는 허두가들이 가장 널리 불리어질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허두가 사설의 내용은 절실한 현실의 문제보다 관념적이고 환상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허두가 사설의 이면에는 인생 무상감과 풍류적 낙천성의 두 가지 주된 정조가 깔려 있는데, 그 중에서도 전자가 주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허두가 사설의 내용과 정조는 허두가의 기능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판소리 창자에 대한 허두가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먼저 허두가는 판소리의 음악적 특성에서 오는 창자의 부담을 줄여 주는 기능을 했다. 허두가는 창자들이 판소리 창에 요구되는 큰 성량, 넓은 음역에 걸친 음정과 박자의 급변, 미묘한 장식음 등을 제대로 구사할 수 있게끔 예비적인 성대 조절을 해 주었으며, 판소리 창의 첫음을 적절히 잡고 음정을 제대로 고를 수 있게 하는 기능도 아울러 수행했다. 대부분의 허두가가 판소리 창의 기본 장단인 중머리로 되어 있음은 바로 이러한 기능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또한 허두가는 소리판을 형성시키고 판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한편, 판소리 창의 시작을 명확히 알려 주는 기능을 했다. 창으로 불리는 허두가는 소리판이 시작됨을 알림으로써 청중의 호기심을 북돋우고 그들의 주의를 집중시켜 판소리 창을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했으며, 장터나 광장 등에서 소리판이 벌어질 때는 청중을 모으는 기능도 아울러 수행했다. 또한 허두가에서 판소리로의 이행, 즉 '창 아니리'의 이행에 따른 구연 방식의 급변과, 그때 나타나는 성량과 음정의 큰 낙차는 청중들에게 순간적인 긴장감을 조성하여 판소리의 시작을 분명히 알려 주는 기능을 했다. 한편 허두가를 통해 창자들이 청중들에게 영합해 감으로써, 그들이 흥미를 가지고 소리판에 참여하게끔 유도했을 가능성도 있다. 창자들은 청중들에게 이미 친숙해져 있는 노래들을 허두가로 부름으로써 그들과의 친화를 꾀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청중에 대한 허두가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허두가는 청중들을 현실로부터 환상의 세계로 끌어가는 한편, 그들의 심리를 안정시키고, 그들에게 자락적인 심리 상태를 조장함으로써, 그들이 저절로 소리판에 동참하게 유도했다. 대부분의 허두가 사설은 관념적이고 환상적인 내용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청중들이 쉽사리 현실을 잊고 환상 속으로 빠져들게 하는 기능을 했다. 특히 파노라마적 전개 방식은 '화자=창자=청중'의 동일시를 쉽게 해 줌으로써, 이런 기능 수행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사설의 이면에 깔려 있는 인생 무상감은 체념적 자락(自樂) 심리를 유발하고, 풍류적 낙천성은 청중들에게 마음의 여유를 마련해 줌으로써 그들이 능동적으로 소리판에 참여하게끔 유도하는 기능을 했다.
또한 허두가는 청중들에게 소리판에의 주체적 동참 의식을 제고시키는 기능을 했다. 허두가 사설은 대부분 현재 시제·1일칭 화자로 되어 있고, 그 종결부도 청유형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청중들과 창자의 일체감 형성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청중들이 남의 놀이를 구경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이 놀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하는 기능을 했다. 그리고 이러한 동참 의식의 제고는 판소리 소리판 형성에 긴요한 청중들의 능동적 참여를 가능케 하는 바탕이 되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4.06.10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49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