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역사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001. 한국의 전통역사학
002. 한국 근대역사학의 태동
003. 일제의 한반도 강점
004. 식민사관의 비판

[일제 식민사관의 대항 (1) : 민족주의]
001. 박은식(朴殷植)
002. 신채호(申采浩)
003. 정인보(鄭寅普), 한사군(韓四郡), 문일평(文一平)
004. 영웅사관 : 신채호(申采浩)와 문일평(文一平)
005. 新민족주의의 등장 : 안재홍(安在鴻)과 손진태(孫晋泰)
006. 민족주의의 목표

[일제 식민사관의 대항 (2) : 유물사관]
001. 일원론적 발전법칙
002. 유물사관에 있어서의 보편성

[한국의 역사관이 될 수 없는 실증사학]

본문내용

바탕을 둔 뒤에 이끌어낸 결과이자 결론이어야 한다.
기왕의 공식이 한국사에 그대로 적중한다는 것은 무리한 논증이 되기가 쉬우며 이 점이 유물사관의 약점이 될 수가 있다.
002. 유물사관에 있어서의 보편성
일원론적 역사 해석을 시도하는 거 자체는 무의미한 일이 아니지만 우리의 역사가 세계사의 발전 법칙이라는 이름 때문에 보편사에 속한다는 것은 성급한 결론이다. 세계사라는 넓은 테두리 안에서 한국사를 본다는 시도는 옳은 일이지만 우리의 역사에는 보편성 못지 않게 특수성도 수없이 많다.
더 나아가 보편성이라 하여도 유물사관만이 갖는 보편성이 아니라 세계사와 밀접히 연관되어 질 수 있는 또 다른 각도의 유사성에서 초래하는 보편성도 존재할 수 있으므로 보편성이 유물사관만의 전유물은 아닐 수도 있다.
[ 한국의 역사관이 될 수 없는 실증사학 ]
한국의 근대사학사에서는 소위 실증사학을 언급하고 있는데 사학사라는 흐름에서 취급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사관의 각도에서 이 문제에 접하게 되면 사정을 완전히 달라지게 된다.
우리나라의 실증사학은 특히 일본을 통하여 전수 받았다는 특수한 사정이 있다. 설사 일본을 거치지 않고 직접 랑케類의 역사연구방법을 도입, 채용하였다고 하여도 그것 자체로는 사관이 될 수가 없는 성격을 지닌다.
일반적으로 운위되는 역사연구의 방법에서 나타나는 사실 추구는 사관이라고 말할 수가 없다. 더구나 우리나라의 실증사학이 일본제국주의 하에서 수용, 발전되어 왔다는 그간의 사실을 상기하면 우리나라의 실증사학에는 일제의 식민사학의 영향이 없는가를 심각하게 반성해 볼 필요가 있다.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6.14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54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