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회사 약사(카톨릭)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교회사 약사(카톨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회 창설의 배경
2. 교회의 창설과 전교, 박해
1)-10) (중략)
3. 박해의 역사적 배경
1)- 4) (중략)
4. 한말, 일제 시대의 교회상
1) 한말의 교회상
2) 일제 시대의 교회
(1) 교회의 반봉건 운동
(2) 교회의 반 침략 운동
5. 현대의 한국 교회
1) 사회개발에 참여한 교회의 모습
2) 사회정의 운동에 참여한 교회의 모습
6. 한국교회의 발자취

본문내용

부의 재혼을 부당하다고 보 지않고 정당한 것으로 인정하였으며, 결혼에 있어서도 당사자의 의사에 반대되는 강제 혼인을 금지하였다. 이같은 천주교도들의 행동 양식은 곧 전통 질서의 파괴 로 인식되지 않을 수 없었다.
3) 당파 싸움의 제물
당시의 정치적 싸움이 치열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제물로서 천주교가 희생된 면 도 고찰할 수 있다. 신유교난, 기해교난, 병인교난 등의 구체적 동인을 분석해 보 면 거기에는 정권의 쟁탈 내지 정권의 연장을 위한 투쟁이 박해의 배경으로 자리 하고 있다.
4) 성리학의 교조성
유교사회의 기본 바탕인 성리학이 근원적으로 위협을 받자 일체의 외부 사상을 이단시하고 배격하게 됨도 박해의 요인이었다. 조선의 성리학자들에게 있어 정학, 정교, 정도는 성리학이었고, 성리학 이외에 일체의 학문과 종교는 사학, 사교, 사도 였다. 실로 한국의 천주 교회는 성리학적 토양에 그 씨를 뿌리면서 많은 시련을 겪어야 했고 1만명 내외의 순교자를 배출하게 되었다.
4. 한말, 일제 시대의 교회상
1) 한말의 교회상
1886년 한불 조약이 체결 되면서 외국인 성직자들이 조선에 들어와 자유로이 활동할 수 있었다. 이때 본당이 설립되고 공소 조직이 이루어지면 한국 교회는 활 기를 띄었으나 과도기적 혼란으로 순교자들도 적지 않았다.
2) 일제 시대의 교회
일제 시대의 한국 교회는 성속 이원론적인 경향을 다분히 나타냈고, 그 결과로 정교 분리를 주장했다. 이는 신자들의 정치문제에 관여나 독립운동에의 참여를 단 죄하기까지 이른다. 이는 오늘날의 정치와 종교는 분리될 수 없고 단지 구별될 뿐 이라는 견해와는 상당한 차이를 드러내는 점이다. 그런데 교회는 두가지 측면의 민족운동 즉, 온건한 비폭력에 의한 반봉건 운동과 교회의 지도층으로 부터 지지 받지 못했던 무장 투쟁에 의한 민족운동이 있었다.
(1) 교회의 반봉건 운동
1893년의 통계에 의하면 교회는 36개의 학교를 운영했고 1904년에는 73개교로 늘었다. 1910년에는 124개교나 되었다. 그러나 1908년의 일제의 `사립 학교령'에 의해서 몇 년이 지나자 총46개 학교로 줄었다. 일제의 지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1910년 이후에는 동성상업학교와 계성여학교 등의 몇 개의 교육 기관만을 가지게 되었다. 경향신문등의 언론을 통한 애국 계몽운동도 개화기의 교회의 반봉건 운동 이다.
(2) 교회의 반 침략 운동
1907년에 군대 해산 후 경상도 일원에서 의병장으로 활동한 김상태, 조선침략 의 원흉이었던 이토호 히로부미를 응징한 후 십자성호를 긋고 대한 만세를 불렀던 안중근, 황해도에서 독립운동 자금을 모으다 발각된 안명근, 105인 사건과 연류되 었고 독립운동 단체인 `광제회'를 조직한 이기당, 그리고 3.1운동 당시 서울의 `예 수 성심 학교'와 대구의 `유스티노 신학교'의 학생들 중 만세 운동에 참가하다 퇴 학당하고 서품이 보류된 신학생들, 만주의 천주교 신자 단체가 주축이 되어 활동 한 '의민단'등은 교회의 가르침을 받은 신도들이 자신들의 신앙의 연장선상에서 민족사에 참여하고 있는 모습들이다.
5. 현대의 한국 교회
1) 사회개발에 참여한 교회의 모습
한국 교회는 1960년대 이후 제한적으로나마 경제 개발을 전개하였다. 1961년 골롬반 신부들에 의한 이시돌 목장의 축산 사업, 1970년대의 가톨릭 농민회의 활 발한 활동, 1960년대에 부산 교구의 무주택 서민들을 위한 주택분양(800가구), 무 엇보다도 큰 영향을 미친 `신협 협동 조합 운동'. 이 운동은 1989년말 통계상 4,496억의 출자금에 이르게 되었다. 또한 긍정적으로 평가되고있는 전국에 370여 개소에 이르는 사회 복지 기관들(1989년 통계) 등은 우리 민족 사회를 위해 기여 하고 있는 교회의 모습이다.
2) 사회정의 운동에 참여한 교회의 모습
1960년대 후반부터 공의회의 영향으로 사회참여의 신학적 이론 기반을 확립한 교회는 1967년 강화도 '심도 직물 사건'을 계기로 79년의 농민탄압을 위한 조작인 사건인 '오원춘 사건', 80년대의 민주헌법 쟁취노력,학원 안정법 시행 반대 투쟁, 시청료 납부 거부 운동, 민주화 기도운동 등의 전개를 통하여 87년에는 6.29선언을 유도해 내는데 한몫 했다. 한국 천주교회의 신도수는 전체 인구의 6.5%에 지나지 않는다. 이는 한국의 복 음화에 더욱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교회는 북한의 복음화를 위 해 더 큰 노력을 경주해 민족의 재일치를 이루게 하는 데 앞장서야 할 당면 과제 를 지니고 있다. 또한 민족 문화와 일치를 위한 토착화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한 국의 교회는 200년이 안된 어린 교회이며 가능성이 엿보이는 교회다.
6. 한국교회의 발자취
한국의 교회 설립은 진리를 향한 열정 속에서 자치적으로 생겨 났고, 신도들은 교회를 지키고 확장시키는데 있어서도 열정적으로 나섰으며 박해의 시련속에서도 열렬한 신앙 운동을 폈다. 한국 교회사에서 드러나는 신앙의 자유 획득을 위한 일련의 노력들은 전근대 사회에 있어서 개인의 양심과 인격 및 그 존엄성을 확인해 나가는 과정으로 표출 되었다. 즉, 신분이나 혈연 등 전 근대적인 우상을 파괴해 나가는 과정이었다. 천 주교 신앙은 이땅에 평등사상을 새롭게 심어 사회적 불평등을 배격했고 박해의 혼 란기에는 인간 양심의 중요성을 교육하였고, 이는 양심법이 국법과 왕법을 상대화 시킬 정도로 중요함을 우리에게 인식시켜 준다. 현대에 들어 교회는 사회개발과 복지 그리고 정의사회구현을 위해 노력해 왔고 오늘 우리는 이같은 노력들을 계속해야할 사명과 더불어 민족의 복음화 사명을 가 지고 있다. 이같은 힘든 과제 속에서도 조상들의 순교자적 삶을 돌이켜 보면 새로운 힘이 솟아난다.
7. 참고문헌
1. 한국 가톨릭 대사전, 한국교회사 연구소,1985, pp 1262-1266
2. 샤를르 달레 저, 안응렬 최석우 역,한국 천주 교회사, 분도 출판사,1980
3. 유롱렬,한국천주교회사,가톨릭 출판사,1984(4판)
4. 국사(사목연구총서2),한국천주교 중앙 협의회,1992
5. 사목 회의 의안 11(선교),한국천주교 200주년 사목위원회
  • 가격7,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07.04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93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