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여성운동과 근우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1920년대 여성운동과 근우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일제시기 여성운동
(1) 연구동향
(2) 일제시기 여성의식과 근우회

2. 근우회의 창립
(1) 근우회 창립의 배경
(2) 민족해방운동상의 근우회의 조직위상
(3) 여성운동의 전국적 통일기관으로서의 근우회의 창립

3. 근우회 운동의 전개
(1) 근우회 운동의 목표
(2) 근우회의 조직과 구성
(3) 근우회의 활동

결론

본문내용

나 해소 이후의 운동방향을 충분히 논의하지 못한 채 당시 신간회나 조선청년총동맹과 같은 통일전선 조직체들의 해소 움직임에 주체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해소되고 말았다는 것은 중대한 실책이었다. 여성 대중의 기반을 확대한다는 것은 바람직한 방향이었지만, 노동조합이나 농민조합으로 조직되기 어려운 계층에 대한 고려가 거의 없이 해소되었다는 것은 여성운동의 역량 강화에 큰 손실을 가져왔다. 이는 지도 역량이 크게 부족한 여성운동이기 때문에 특히 그러하였다.
결론
한국의 여성운동은 서구의 경우와 같이 사회적 구조 즉 정치, 경제, 문화의 근대화과정에서 일어나는 여성계의 반사적 수용형태로서 전개된 것은 아니다. 한국은 주체적인 근대화가 일제에 의해서 봉쇄당한 식민지였다. 따라서 유교질서가 강력하게 혼재된 상태 위에서 구여성상의 해체는 쉬운 일이 아니었다.
3·1운동 이후로 과거의 민족주의적 방향, 그리고 기독교적 여성운동의 단계에서 부녀해방론이 대두하기 시작하였고 그것이 여동우회로 나타났다. 근우회는 민족통일세력체였던 신간회의 발족에서 생성한 여성계의 집약적 세력체이며 민족주의, 기독교여성세력, 사회주의자등이 주동이 된 통합된 항일여성단체라 할 수 있다. 그 실제에 있어서 근우회는 일제치하 여성운동의 전성기를 맞이했으며 근우회는 전국의 항일적이며 진취적인 여성들을 민족적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동원하고 그 힘을 조직해나가는 우리 여성운동사상 보기드문 운동이 되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과 같이 일제시기 여성운동과 관련하여 근우회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일제시기의 여성운동사 연구에서는 전체 민족해방운동과 여성운동의 관계 뿐만 아니라 당시 여성문제의 본질과 여성운동의 독자적 지위와 역할, 그것의 실천방안과 조직화 방식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당시 여성의 사회적 처지, 그들의 공통의 요구와 지향을 해명하는 것과 함께 여성 내부의 계급적 차별성에 따른 역량편제 방식의 특성, 계급운동 내에서의 여성들의 역할 등도 해명되어야 한다. 기존의 연구는 여성단체들의 성격, 활동의 사회·정치적 의미 등에 대한 분석을 완전히 결여하고 있다. 특히 기층여성의 활동을 여성운동의 관점에서 연구영역 속에 본격적으로 포괄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왕의 연구에서도 이들의 활동은 정당하게 자리매김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여성운동사 연구에서는 여성문제의 성격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모색과정을 여성운동의 독자적 발전논리 속에서 체계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민족해방운동의 한 부문으로서 여성운동이라는 관점에서 양자간의 결합논리, 여성운동의 독자적 지위와 역할 등을 해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것들이 해결되기 위해서는 좀더 풍부한 연구인력과 이들에 의한 사실발굴의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여성연구회 여성사분과 편, 《한국여성사 -근대편-》, 풀빛, 1992.
한국여성연구소 여성사 연구실 저,《우리 여성의 역사》, 청년사, 1999.
이효재, 《한국의 여성운동》, 정우사, 1989.
이배용,〈한국 근대 여성의식 변화의 흐름 - 개화기에서 일제시기까지 -〉,《한국사 시민강좌》15, 일조각, 1994.
신영숙,〈근우회에 관한 일연구〉,《이대사원》16, 이대사학회, 1979.
신영숙,〈일제시기 여성운동가의 삶과 그 특성 연구〉, 역사학회 편, 《역사학보》150, 1996. 6.
이현희,〈근우회의 조직과 계몽운동 - 일제치하의 부녀운동일반 -〉, 《통사》2호.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편사회, 1972.
정세현,〈근우회조직의 전개〉,《아세아여성연구》, 11집,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 1972.
이현희,〈근우회의 자립적 계몽운동〉,《연구논문집》6집,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73.
김정희,〈일제하 동래지역 여성독립운동에 관한 소고 - 근우회 동래지회를 중심으로 -〉,《문화전통논집》4집. 경성대학교 부설 향토문화연구소, 1996.
박용옥,《한국 여성 항일운동사 연구》, 서울: 지식산업사, 1996.
윤정란,〈한국기독교 여성들의 근우회 탈퇴 배경에 관한 연구〉,《한국기독교와 역사》8, 한국기독교역사학회, 1998.
윤정란,〈1920년대 기독교 여성들의 근우회 참여과정과 탈퇴 배경에 관한 연구〉,《여성 -역사와 현재》, 서울: 국학자료원, 2001.
최숙경·신영숙, 〈 한국 여성사 정립을 위한 여성인물 유형연구 -3.1운동〉, 《여성학논집 제9집》, 한국여성연구원 1993-12 .
최숙경, 이배용 외, 〈한국여성사 정립을 위한 인물유형 연구〉3, 3·1운동부터 일제까지,《여성학논집》 10집,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1993
한국여성연구회 여성사분과, 〈한국여성사의 연구동향과 과제-근대편〉, 한국여성연구회 편, 《여성과 사회》5호, 1995
남화숙, 〈1920년대 여성운동에서의 협동전선론과 근우회〉,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89.
鄭世鉉,〈日帝治下의 父女運動小考-民族運動과의 關聯〉,《아세아여성연구》, 2집, 1963.
鄭世鉉,〈槿友會組織의 發展〉, 《아세아여성연구》11집, 1972.
신영숙,〈근우회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78.
朴容玉,〈1920年代初 抗日婦女團體의 指導層 形成과 思想〉,《日帝下 植民地時代의 民族運動》, 풀빛, 1981.
오수경,〈일제하 한국 여성운동연구〉, 경남대 석사학위논문, 1983.
朴容玉,〈1920年代 韓國女性團體運動〉,《한국근대여성연구》, 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 1987.
오숙희,〈한국여성운동에 관한 연구-1920년대를 중심으로-〉,《여성학논집》4집, 한국여성연구소, 1987.
정요섭,《한국여성운동사-일제치하의 민족운동을 중심으로》, 일조각, 1973.
박용옥, 〈근우회의 여성운동과 민족운동〉,역사학회,《한국근대민족주의운동사연구》, 일조각, 1987.
송연옥,〈1920년대 조선여성운동과 그 사상-근우회를 중심으로〉, 《한국 근대사회와 사상》, 중원문화사, 1981.
박용옥, 《한국근대여성운동사연구》, 정신문화연구원, 1984.
이배용,〈일제시기 여성운동의 연구성과와 과제〉, 韓國史硏究의 回顧와 展望 Ⅳ / 《韓國史論 26》, 1996
《동아일보》,《조선일보》,《근우》
  • 가격4,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4.08.13
  • 저작시기2004.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32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