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의 대외관계에 대한 고찰- 3~4세기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加耶의 對外交涉

Ⅲ. 加耶와 百濟와의 관계

Ⅳ. 加耶의 對外交易

Ⅴ. 맺음말

본문내용

의 병합이후 가야지역으로 세력을 팽창시켜 오기 시작한다. 남방을 우호적인 세력으로 만들어 고구려와의 충돌시 이용하려는 목적이 깔린 계산이었다. 이에 금관가야는 낙동강 하구에 대한 왜, 백제의 자유로운 접근을 보장함으로써 신라를 견제하고 정치·경제적인 이익을 얻고자 하는 노력에 힘쓰게 된다.
그러나 4세기에 들어와 금관가야는 쇠약해지고 한반도 북부에는 한차례의 파동이 일어났으며, 그 파문은 한반도 남단에까지 미치게 되었다. 이 시기 남부세력권의 추이와 초기가야사회의 변화는 복잡한 국제관계 속에서 전개된 것은 틀림없다. 초기에는 신라 세력권의 팽창, 후기에는 백제세력권의 남하로 비롯되었다.
4세기 초에 고구려는 한반도 서북지역을 소멸시키고 이 지역을 사이에 두고 백제와 패권을 다투게 되었다. 고구려와 백제는 경쟁적으로 그 영향력을 경상도 지역으로까지 확대해 나갔다. 그 결과 신라는 고구려에 부용이 되어 문물을 직접 수입하고 자기 지역에 대한 통솔을 더욱 공고히 해 나갔다.
낙동강하구 가야세력권에서의 선진적인 제양상에도 불구하고 3세기 이후 그 구심체는 상실되어 이를 배경으로 한 보다 발달된 정치체를 이루지는 못했는데, 이는 신라세력권의 팽창에 의한 결과로 보인다. 그리고 4세기 중반 이후는 백제의 남하에 의해 이 지역에 복잡한 국제관계가 전개됨에 따라 새로운 구심체의 등장에는 다른 지역에서의 또 다른 사회동인이 요구되었다.
원래 신라와 백제는 각각 내물왕과 근초고왕 때로부터 진한과 마한의 땅을 통합한 후 이어서 그 주위에 있는 지역을 병합하고자 가야지역으로 진출하기에 이르렀다. 이때 가야는 영토 방위력의 미약함을 느끼고 신라와 백제의 진출을 방비하기 위하여 왜지의 군사력을 개입시켰다. 가야는 고구려와 신라가 화친함을 기회로 하여 백제와 일본을 연락케 함으로써 서방으로 진출하여 오는 백제의 세력과 동방의 신라 진출을 동시에 막을 수 있었다. 그러나 왜군은 고구려에 의하여 격퇴되었다.
가야 연맹의 맹주국이었던 금관가야 주체세력이 멸망하여 연맹이 해체되자, 낙동강의 동쪽 지역이 모두 신라의 수중에 들어가고 낙동강하구의 주요 세력들이 초토화됨으로써 가야는 해운의 이익을 대폭 상실했다.
그 여파로 백제는 바다를 통하여 왜와 교역하기가 매우 어려워졌고, 신라는 가야와 왜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났으나 고구려의 정치적 간섭에 한동안 시달려야 했다.
이러한 커다란 정세의 변혁은 4세기 말, 5세기 초에 걸친 고구려와 백제 사이의 세력다툼에서 백제가 크게 패하고 광개토왕의 군대가 낙동강 하류지역까지 내려와 가야를 토벌함으로써 비롯된 것이다
) 광개토왕릉비문, 광개토왕 10년(400) 庚子條 참조.
.
이제까지 여러번의 파동을 거치면서 가야지역에는 몇 가지 변화가 일어났다. 우선 3세기까지 가야의 중심지역이었던 김해, 함안 등의 경남 해안지역은 큰 타격을 입고 쇠잔해졌으며 그 잔여세력의 일부는 전 단계에 자신의 영향력이 미치던 여타 지역으로 흩어져 갔다. 이에 비해 고령, 함안 등의 내륙산간 후진지역은 오히려 전화를 입지 않고 기왕의 세력기반을 성장시켜 나갔다. 또한 가야 연맹 내의 후진 지역이었던 낙동강 하구의 주민들이 흩어져 경상 내륙과 일 열도 등으로 이주하면서, 제철 및 철기 가공기술, 도질토기 제조 기술 등이 대거 전수되었다.
이렇게 재편된 가야지역이 5세기에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을 무렵 국제환경은 또다른 변화를 맞게 된다. 5세기 전반부터 중엽에 걸쳐 신라는 고구려의 간섭을 배제하고 독자적인 고대국가의 기반을 닦아 나가면서 백제와도 화친을 맺었으며 고구려의 장수왕은 평양 천도를 단행한 이후 남하정책을 추구하였다.
고구려에 의해 백제는 수도가 함락되고 백제는 웅진으로 남천을 하였고 신라는 고령의 북방과 추풍령을 넘어 보은의 삼면산성까지 진출하는 성과를 올렸다. 이 무렵 가야는 고령의 대가야가 주도적인 세력으로 등장하고 대수장의 역할을 하게 되며 가야 세계의 새로운 재편이 시작된다.
《參 考 文 獻》
1. 單行本
김태식, 『미완의 문명 7백년 가야사』, 푸른역사, 2002
부산대학교 편, 『한국고대사속의 가야』, 혜안, 2001
윤석효, 『신편 가야사』, 혜안, 2001
2. 論文
김태식,「가야연맹체의 성격재론」『한국고대사논총』10, 2000
백승충,「3∼4세기 한반도 남부지방의 제세력 동향」『부산사학』19, 1990
이영식,「신라와 가야제국의 전쟁과 비교」『신라문화제학술발표회논문집』, 1994
이희진,「4세기 중엽 백제의 ‘가야’정벌」『한국사연구』86, 1994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10.05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94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