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의 목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절 조직목표의 의의

제 2 절 조직목표의 유형

제 3 절 목표의 변동

본문내용

오르자 그들의 지위를 유지하고 강화하는 데 급급했다. 그들은 지도자의 자리에서 물러나면 과거와 같이 육체노동에 종사하는 비천한 자리로 되돌아가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이들의 경험이 축적되어 갈수록 조직목표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이들이 불가결의 존재로 되고, 따라서 이들에 의한 지배는 더욱 견고하여졌다.
이리하여 이들은 조직 내의 의사전달수단을 통제할 수 있게 되고, 야심적인 소장지도자들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이든지 추방함으로써 그들의 지위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었던 것이다. Michels는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당초에 평등주의적이었던 조직도 목표의 효과적인 달성을 위하여는 계서적 구조를 낳게 되고, 소수지도자에 의하여 지배당하게 된다는 과두지배의 철칙(Iron Law of Oligarchy)을 제창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들 지도자들은 과격한 혁명운동으로 말미암아 정부의 비위를 거슬림 으로써 조직의 존재 자체가 위협받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에 점차 과격한 행동을 피하였다. 이리하여‘보다 많은 준비’를 위한다는 구실로 혁명운동은 뒤로 미루고 조직을 확장하고 세력을 늘렸을 뿐만 아니라 지도자들의 지위도 더욱도 견고해지게 되었던 것이다. 말하자면 조직의 제도적 가치가 조직의 궁극적 목표로 전화되고 만 것이다.
R. Merton은 약간 다른 각도에서 목표대치현상을 보고 있다. 그에 의하면 관료조직의 특성이 구성원의 생태에 영향을 주어 본질적이 목표 그 자체보다는 수단인 규칙과 절차에 더 집착하게 할 수 있다고 한다.
(2) 목표의 승계 목표의 승계란 어떤 목표가 같은 유형의 다른 목표로 교체되는 형태의 목표변동이다. 목표의 승계는 본래 추구하던 목표가 달성 불가능하거나 또는 완전 달성된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목표의 승계의 가장 전형적인 예로서 미국 소아마비 재단의 경우를 들 수 있다. 소아마비 재단은 국민의 지지를 얻어 소아마비 예방약의 연구를 지원하고 소아마비 희생자들에세 도움을 주는 것을 그 목표로 하였다. 이 재단은 약 20년간 이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성실히 노력한 결과 예방약인 왁찐의 발명에 크게 이바지하게 되었으며 소아마비의 위협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소아마비재단은 그 목표를 달성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추구할 목표가 없게 되어 해체할 수도 있었으나 해체하지 않고 관절염과 불구라 출생의 예방과 치료라는 새로운 목표를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우는 목표의 완전달성 때문에 일어나 목표승계의 예이지만, 목표의 달성이 불가능한 때에 나타나는 목표의 승계가 더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3) 목표의 다원화 및 확대축소 조직이 원래의 목표달성이 어려울 때는 본래의 목표에 새로운 목표를 추가하거나, 목표의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계속적인 존속을 꾀한다. 이와 같이 본래의 목표에 새로운 목표를 추가하는 것을 목표의 다원화라 하고, 목표의 범위를 확대하는 것을 목표의 확대라 한다. 또한 조직은 목표달성이 심한 애로에 봉착하거나 불가능할 때에는 목표를 축소시킬 수도 있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4.07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16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