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기반 한국어 교육현황과 교재개발의 쟁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웹 기반 교육’과 ‘웹 기반 한국어 교육’의 현황
2.1. 웹 기반 교육의 개념과 교육적 기능
2.2. 웹 기반 교육과 구성주의
2.3. 웹 기반 한국어교육의 현황

3. 웹 기반 한국어 교육 교재 개발의 쟁점들
3.1. 사용환경의 수준을 어디에 맞출 것인가?
3.2. 단선적 구조로 할 것인가, 복선적 구조로 할 것인가?
3.3. 어떻게 읽기, 듣기, 쓰기, 말하기 모두를 교육할 것인가?
3.4. 멀티미디어 자료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3.5. 정규과정인가, 비정규과정인가?
3.6. 가상교육과 면대면 교육간의 관계

4. 전망과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듣기와 읽기, 쓰기만을 선택할 경우, 나아가 어휘와 문법 분야를 별도로 설정할 경우, 이들의 공간적 배열과 순서를 결정해야 한다. 면대면 수업의 경우 일회적이며 단선적일 수밖에 없는 수업 구조가 온라인 수업에서는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물론 낯선 언어로서의 한국어의 특성상 단선적 구조를 포함하지 않을 수 없지만 하이퍼텍스트성 (hypertextuality)과 하이퍼미디어적인 웹의 특성은 단선적 구조보다는 복선적 구조를 지향한다. 이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은 교사 (또는 개발자)의 교수 의도와 계획이 어떻게 학습자에게 전달될 것인가의 문제이다. 예를 들어 교수를 계획할 때 효율적이며 단계적인 배열 구조를 기대하여 '듣기-읽기-문법-어휘-쓰기'의 순으로 메뉴들을 배열하더라도, 이는 화면상에 아이콘으로 제시될 뿐 학습자에게 이러한 순서대로 학습하라고 강요할 수는 없다. 이러한 특성이 복선적 교수-학습 구조로 나타나게 된다.
(3) 어떻게 읽기, 듣기, 쓰기, 말하기 모두를 학습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주요 언어기능인 이들 네 기술을 효율적으로 안배하고 기술적으로 가능한 범위를 선정해야 한다. 현재의 웹 기반 교재는 읽기, 듣기 위주이며 쓰기의 경우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말하기 기능은 기술력의 향상과 함께 다각도로 활용되어질 것으로 보인다.
(4) 하이퍼미디어는 언제나 효과적인가의 문제로서, 학습자의 집중력이 분산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에서, 그리고 다차원적 구조를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눈으로 보고, 듣고, 읽을 수 있는 하이퍼미디어적인 특성을 강조해야 하지만, 그 사용 목적에 대해 충분히 검토되어야 한다. 하이퍼미디어의 특성을 강조하는 현대의 웹 기술은 멀티미디어 자료를 보다 많이 사용하도록 권장, 유도되고 있지만, 실제 그 자료들이 학습 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의 문제는 면밀히 고려되어야 한다. 즉, 멀티미디어 자료들의 목적이나 용도, 그 내용적 구성들이 충분히 검토되어 학습에 도움이 되는지, 된다면 어떤 효과를 기대하는 지가 분석되어야 한다. 자칫 무분별한 멀티미디어 자료의 사용은 학습에 있어서의 집중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5) 웹 기반 한국어 교육의 정규/ 비정규과정 문제는 웹 기반 교육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한국어 교육 사이트를 정규과정으로 운영할 수 있기 위해서는 웹 상에서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의 네 가지 영역을 고루 학습할 수 있는 커리큘럼이 개발되어야 함은 물론 엄격한 출석 체크와 평가가 기술적, 행정적으로 행해져야 한다.
(6) 아직까지 웹 기반 한국어교육은 전반적으로 기술 수준이 낮으며 학습자의 컴퓨터 환경이 고르지 않아서 학습자 확인이나 출석 체크 등이 엄격하게 이뤄지기 어렵고 학습의 전체 과정에 관한 평가 또한 불철저한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반 여건들이 향상된 먼 미래에는 교육과 면대면 교육이 공존하면서 불충분한 문제점들을 보완해 줄 수 있을 것이며 종국적으로는 면대면 교육을 대치하는 것까지도 가능하지 않을까 예상된다.
이외에도 검토하거나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많을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이론적 논의보다는 실제 개발 과정을 거치면서 더욱 많은 한국어 교육 전문가들이 개진할 수 있는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
강인애. 1997. 왜 구성주의인가?. 서울: 문음사.
김동식·강명희·박성익. 1998. 교육공학 연구의 최근 동향. 서울: 교육과학사.
김영수 외 공역. 1995. 교수공학: 정의와 영역. 서울: 교육과학사.
김종량. 1991. 교육공학: 수업공학의 이론 및 실제. 서울: 문음사.
김인식·최호성·최병옥. 2000. 수업설계의 원리와 모형 적용. 서울: 교육과학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편. 1999. 교육학 대백과 사전. 하우동설.
정인성·나일주. 1994. 최신교수설계이론. 서울: 교육과학사.
조연주·조미헌·권형규 공역. 1997. 구성주의와 교육. 학지사.
지현숙·이효정. 1999. 인터넷을 이용한 한국어 수업의 실제. 한국어교육 제10권 2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최정순. 1999. 새로운 수업도구로서의 웹. 한국어교육 제10권 2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최정순. 2000. Korean Language Teaching: Web-based Instruction. The Proceedings of The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July 13-15, 2000, Praha, Czech Republic). International Circle of Korean Linguistics.
허운나. 1986. 교육방법과 교육공학. 정보사.
허운나·유영만. 1995. 교육공학개론. 한양대학교 출판원.
Bednar A. K. et al.. 1995. Theory into practie: How do we link?. In G. J. Anglin (ed) Instructional Technology: Past, Present, and Future.
Bransford, Sherwood, Vye & Rierser. 1986. Teaching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Research foundations.
Brown, A. S. & A. S. Palincsar. 1989. Guided cooperative learning and individual knowledge Learning and individual knowledge acquisition.
Cohen R. & A. W. Siegel. 1991. A text for context: Toward an analysis of context and development.
Schunk, Dale. H.. 2000. Learning Theories: An educational perspective: Prentice-Hall, Inc.
Winn W.. 1993. Instructional design and situated learning; Paradox or partnership?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33(3). pp. 16-21.

추천자료

  • 가격2,2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4.16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31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