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II. 이론적 배경
1. 자기성장집단상담프로그램
가. 집단상담
나. 자기성장프로그램
2. 자아존중감
가. 자아존중감의 개념
나. 자아존중감의 특징 및 발달
3. 사회성
가. 사회성의 개념
나. 초등학교 시기의 사회성 발달
4. 선행연구 고찰

III. 연구 방법
1. 실험 대상
2. 실험 기간 및 절차
3. 실험 도구
가. 자아존중감 검사
나. 사회성 검사
다. 프로그램 평가지
4. 자기성장프로그램
5. 자료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본문내용

유익하게 생각했으며, 그 이유로는 나의 고민을 친구들과 함께 해결하는 가운데 고민을 풀 수 있었고 집단원들이 ‘나’에 대해 관심을 가져 주는 것이 좋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또 ‘나’와 집단원들의 개방정도에 대해서는 아주 솔직하게 개방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상담과정이 ‘나’의 탐색과 대인관계 개선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볼 때, 자기성장프로그램은 전반부에는 자신을 탐색함으로써, 자신을 이해, 수용하게 되어 자아존중감형성에 도움이 되었고, 후반부에는 자기노출을 통하여 집단원들 간에 참 만남의 경험을 공유하여 사회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자기성장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관심을 가진 주요 연구문제는
첫째, 자기성장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에 자아존중감 사전사후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인가?
둘째, 자기성장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에 사회성 사전사후 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인가? 이다.
본 연구문제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장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 사전-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의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학교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그 외 자아존중감 하위영역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은 하위영역에 대하여 자아존중감 변화의 범위와 빈도를 측정하여 개인별 자아존중감 변화량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은 사회적 자아존중감과 가정적 자아존중감에서 증가한 빈도가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아울러 학생들의 프로그램 평가지와 본 연구자가 프로그램을 적용하며 관찰한 바에 의하면, 프로그램 적용 전에는 자신감이 결여되고 소극적이며 열등감을 느끼던 학생들이 상담이 진행됨에 따라 적극적으로 자신을 개방하고 자신의 가치를 발견해 나갔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4학년아동에게 적용한 연구에서 일반적 자아존중감, 학교자아존중감 등의 하위요인이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고, 가정적 자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자기성장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의 사회성 사전-사후 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은 사회성에 대하여 개인별 변화의 범위와 빈도를 측정한 결과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에 공통적으로 개개인의 사회성 중 준법성의 변화가 어느 정도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변화의 빈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통제집단은 33%가 증가한 반면 실험집단은 50%가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변화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성장프로그램을 적용한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상대적으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사회성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셋째, 자기성장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원들의 변화과정을 보면, 상담 전반부에서는 자기 이해와 집단원들 간의 신뢰감이 형성되었고 후반부로 갈수록 자신을 보다 적극적으로 개방하고 타인의 눈에 비친 내 모습, 나의 장단점, 나의 가치 등에 관심을 가짐으로써 자아존중감이 긍정적으로 향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제로 상담 전반부에 집단원들이 가장 관심을 가진 프로그램은 ‘나는 어떤 사람인가’이었다. 자신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자아를 이해하고 수용하며 개방함으로써 회가 거듭될수록 서로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마음껏 자기를 노출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기성장프로그램은 집단구성원간의 상호작용으로 타인 이해 및 자기 이해의 기회를 갖게 함으로써, 자아존중감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회성을 점진적으로 개선시켜, 보다 가치로운 인간으로 성장하게 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교육과정에 보다 체계적으로 도입하고 활성화한다면 학생들이 보다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제언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교육과정에서 자기 성장을 위한 집단 상담이 필요하다. 초등학교 5, 6학년은 사춘기로 접어드는 시기이므로, 집단 상담이 학생들에게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을 키워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사회성의 향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이 정적상관관계에 있다는 선행연구를 볼 때 후속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본 연구의 자기성장프로그램이 단기간에 이루어졌으므로 행동화, 내면화시키는 데 어려움이 예상된다. 그러므로 이를 위한 후속연구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참고 문헌
강진령(1999). 아동성장집단상담 훈련 프로그램. 제3회 춘계 교육연수Worksshop 자료집
김학수, 이윤수(1975). 생활지도 진단검사. 서울 : 중앙적성연구소
송인섭(1998). 인간의 자아개념 탐구 서울 : 학지사
이상노(1979). 성격과 행동의 지도 서울 : 중앙적성출판부.
이장호(1995). 상담심리학 서울 : 박영사.
이장호, 김정희(2001). 집단상담의 원리와 실제 서울 : 법문사.
이현림(2000). 진로상담의 이해 경산 : 영남대학교 출판부.
이현섭외(1999). 아동발달심리 서울 : 학지사.
이형득(1979). 집단상담의 실제 서울 : 행동과학연구소.
______(1989). 집단상담의 실제 서울 : 중앙적성출판부.
이혜성(1978). 생활지도실제의 문제. 서울 : 한국카운슬러협회.
정범모(1971). 인성검사 요강, 국민학교 고학년용. 서울 : 코리안 테스팅 센터.
정원식(1975). 인간과 교육. 서울 : 배영사.
정원식, 강주태(1981). 교육심리학. 서울 : 재동문화사.
Allport, G. H(1961). "Pattern and Groth in Personality".New York : Henry Holt.
Baraden, N.(1992). The Poewr of self-Esteem, 강승규 역(1995). 나를 존중하는 삶. 서울:학지사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5.06.07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08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